진도아리랑
박상률 지음 / 큰나(시와시학사)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3.11.23.

노래책시렁 322


《진도아리랑》

 박상률

 한길사

 1991.4.30.



  오랜 노래 ‘아리랑’은 어떤 말에서 비롯했는지 아직 다 알지는 않습니다. 그저 ‘아리·쓰리·아라리·아리랑·쓰리랑·-랑·고개’ 같은 낱말은 어느 고장 어느 노래에서도 나란히 나올 뿐입니다. 우리말 ‘알’은 ‘알다·앓다’하고 밑동이 같습니다. 알에서 깨어나니 ‘알다’라 하고, 알에서 깨어나려니 ‘앓다’라 합니다. 몸앓이를 하는 일이란, ‘알깨기’이면서 ‘날개돋이·허물벗기·거듭나기’로 여겨요. 그리고 우리말을 곰곰이 보면 ‘가시버시·어버이·암수’처럼 순이(여성)가 앞섭니다. 《진도아리랑》을 읽었습니다. 서른 해 남짓 묵은 글자락은 아직 총칼바람이 서슬퍼렇던 한때를 찬찬히 보여줍니다. 전두환·노태우가 우두머리로 우쭐대던 무렵에도 근심걱정이 없이 하느작거린 사람들이 있을 테지만, 그무렵뿐 아니라 오늘날에도 고단하게 억눌린 사람들이 있습니다. 나라지기나 벼슬아치는 어느 만큼 흐르면 바뀌되, 막상 뼈대는 잘 안 바뀌어요. 진도 같은 시골은 앞으로 어떤 길을 갈까요? 전남 고흥이나 보성, 경북 봉화나 영양 같은 시골은 앞으로 어떤 길로 나아갈까요? 작은 시골(군 단위)은 군수·군의원·국회의원을 더는 안 뽑아야지 싶은데, 벼슬아치가 확 줄어야 할 텐데, 이런 시골노래는 이제 누가 부르는지요.


ㅅㄴㄹ


고래고래 대들었더니 / 공무집행방해라나 뭐라나 / 그 덕분에 / 읍내 본서로 목포로 / 왔다 갔다 하면서 / 내 생전 처음으로 / 밤 새워 글을 써 봤네 / 진술서인지  / 소설인지. (하천부지―진도 아리랑·19/45쪽)


준근이는 팔뚝이 굵은 친구다 / 팔뚝이 가는 나는 / 겨우 연필이나 들쳐메고 / 셈하며 사는데 / 팔뚝이 굵은 그는 역시 / 국졸 학력으로도 / 굵은 통나무를 다듬어 / 보란듯이 가구를 만든다 (준근이―진도 아리랑·35/78쪽)


누이는 돌아올까 / 혜진이는? / 아직도 / 꿈속의 들녘엔 / 삐비꽃 지천으로 피고 / 보릿대로 피리 불며 / 지겟다리 장단에 / 육자배기 넘실대는데 (기다림 4―진도 아리랑·59/12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