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너처럼, 나처럼 2022.10.23.해.



저기에서 너를 쳐다보는 사람이 있구나. 저이는 왜 너를 볼까? 너는 저쪽을 쳐다보네. 너는 왜 저쪽을 쳐다보니? 저쪽 사람은 너한테서 무엇을 느끼고 배우며 삶을 돌아보려는 마음일까? 또는 멍하니 너를 쳐다볼 뿐일까? 또는 그이 마음속은 바라볼 줄 모르는 채 허둥지둥 헤매는 셈일까? 너는 무엇을 느끼고 배우려고 저쪽을 쳐다보니? 너는 저쪽을 쳐다보면서 즐겁거나 새롭거나 마음 가득 사랑이 흘러넘치니? 자, 그럼, 생각해 볼까? 네가 숲에 있다면 넌 무엇을 보겠니? 네가 바다에 있다면 넌 무엇을 보겠니? 네가 시골에 있다면 넌 무엇을 보겠니? 네가 멧골에 있다면 넌 무엇을 보겠니? 네가 서울(도시)에 있다면 넌 무엇을 보겠니? 숲하고 서울은 무엇이 다를까? 숲하고 서울에서는 무엇을 볼 수 있을까? 네가 숲에 있을 적에는 무엇 하나도 너한테 “네 눈길을 받고 싶어!” 하고 달라붙지 않아. 바다에서도 멧골에서도 그렇지. 서울(도시)이라면 네가 주머니를 얼른 열어 돈을 내놓도록 붙잡으려는 눈길이 가득해. 또 너를 구경하면서 재고 따지는 눈길이 넘실거려. 예전에는 시골이 숲·멧골·바다하고 비슷했지만, 요새 시골은 서울을 닮더라. 너는 언제나 너로서 살고 너처럼 생각하고 너답게 노래하면 돼. 누구나 ‘나처럼(너처럼)’ 살 노릇이야. ‘남처럼(놈처럼)’ 되기를 바라면, 시나브로 네 숨빛을 그쪽한테 내주고서 죽음길로 간단다. 숲은 숲이기에 숲이고, 새는 새이기에 새이고, 나무는 나무이기에 나무이지. 너는 ‘어떤 너’이기에 ‘너로서·너처럼·너답게’ 있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