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6.23.


《리제 마이트너》

 샤를로 케르너 글/이필렬 옮김, 양문, 2009.4.27.



‘숲노래 책숲’을 갈무리한다. 땀을 빼고서 하루를 돌아본다. ‘고흥 꿈꾸는 예술터’ 분들하고 7월∼10월 사이에 고흥 어린이·푸름이·어른하고 노래꽃수다(시창작수업)를 열다섯걸음으로 함께한다. 이 자리를 함께하는 이웃님하고 하늘과 구름과 해와 바람과 별이 어떻게 우리말로 스며서 노래로 피어나는가 하는 수수께끼를 풀어나가려 한다. 글쓰기가 어렵다면, 나라(정부)가 시키는 대로 길든 마음을 풀지 않은 탓이다. 말하기를 못 하겠다면, 둘레(사회)에서 억누르는 대로 가둔 마음을 열지 않은 탓이다. 책읽기를 즐기지 않는다면, 스스로 사랑하는 눈빛을 틔우지 않은 탓이다. 《리제 마이트너》를 읽은 지 꽤 지났다. 자리맡에 놓고서 한참 곱씹는다. 곧 ‘오펜하이머’라는 보임꽃(영화)이 나온다는데, ‘양자물리학·핵물리학’을 살핀 숱한 사내는 나라돈을 푸짐히 누리면서 싸움불꽃을 부추겼다. 이와 달리 ‘살림꽃’을 바라보려는 이도 있었다. ‘하이젠베르크’를 바탕으로 바라보는 길이라면 줄거리부터 확 다르리라. 더욱이 ‘리제 마이트너’를 바탕으로 어제·오늘·모레를 잇는 길을 바라보려 하면, 얼뜬 짓을 걷어치우고서 삶눈을 꽃피우는 마음을 나눌 만하겠지. ‘그들’은 우리가 새눈을 틔우며 새빛을 보기를 안 바란다.


#LiseAtomphysikerin #DieLebensgeschichtederLiseMeitner #LiseMeitner  #CharlotteKerner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