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3.9.9.

숨은책 858


《벽 없는 미술관》

 임옥상 글

 생각의나무

 2000.10.17.



  2016년 8월 29일에 “기억의 터”가 열고, 이곳에 “대지의 눈”하고 “세상의 배꼽”이 있어요. 그런데 “기억의 터·대지의 눈·세상의 배꼽”은 우리말씨가 아닌 일본말씨입니다. 창피합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여성’을 기리는 곳에 왜 우리말씨를 안 쓸까요? ‘돌아봄터’에 ‘땅이 본다·누리배꼽’처럼 우리말을 쓸 노릇이지만, ‘서슬퍼런 총칼수렁 일본’을 나무라면서 정작 ‘일제강점기 식민지 말씨’를 그대로 붙인다면 아이들한테 무엇을 남기려는 셈일까요? 2023년 9월 5일에 ‘응큼질꾼(성추행범) 임옥상’이 세운 돌더미를 삽차로 치웠습니다. ‘응큼질꾼’은 2013년에 ‘부하직원’한테 응큼질을 했다지요. ‘정의연’은 진작 있던 말썽을 왜 몰랐을까요? 진작 있던 말썽이 불거진 뒤에 왜 먼저 창피한 돌더미를 스스로 치울 생각을 안 했을까요? 《벽 없는 미술관》을 곰곰이 되읽자니, ‘국전·공모전’에 설 자리가 없었다던 응큼질꾼은 어느 때부터인가 나라일감을 톡톡히 맡았고, 이름을 날리고 돈을 잘 벌었습니다. ‘공공조형물 200가지’라지요. ‘동아일보·중앙일보’에 일찌감치 그림을 싣던 응큼질꾼은 “씨팔!”거리면서 ‘노랑머리’를 미워하고 ‘고은 시인’을 좋아합니다. 아, 그랬군요. 이녁 뿌리가 이러했군요.



그러다 보니 국전에도, 그밖의 어떤 공모전에도 내가 설 자리는 없었다. (40쪽)


도시 변두리는 내 그림의 보고다. 도시와 농촌의 중간 지대인 변두리는 생활의 변화가 심하다. 그곳에는 도시에서도 농촌에서도 발 붙이지 못한 어정쩡한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다. (109쪽)


섬진강, 김용택 시인이 사는 마을의 한 풍경이다. 거의 벌거벗다시피한 여인을 대동하고 노랑머리 미국인이 카메라를 들이댄다. (127쪽)


남주 형이 죽었다. “씨팔, 죽을 놈들은 죽지도 않고 멀쩡한 사람들만 죽어가는구만.”, 나의 입에는 고약한 말이 씹혔다. (181쪽)


고은 선생이 마침 나의 작업실에 오셨다. 오신 김에 손을 떠놓고 싶었다. 시인의 손은 그 자체가 기념물이니까. (195쪽)


1999년, 나는 《중앙일보》의 박노해 시인 ‘희망 찾기’ 연재에 삽화를 그린다. 그와의 동행은 매우 신선했고 또한 진지했다. (223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