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지수 指數


 행복지수가 최고치이다 → 기쁨눈이 치솟는다

 불쾌지수가 현저하다 → 매우 거북하다

 성평등지수를 측정하니 → 어깨눈금을 재니


  ‘지수(指數)’는 “1. [수학] 어떤 수나 문자의 오른쪽 위에 덧붙여 쓰여 그 거듭제곱을 한 횟수를 나타내는 문자나 숫자 ≒ 누승지수·멱지수·제곱지수 2. [경제] 물가나 임금 따위와 같이, 해마다 변화하는 사항을 알기 쉽도록 보이기 위해 어느 해의 수량을 기준으로 잡아 100으로 하고, 그것에 대한 다른 해의 수량을 비율로 나타낸 수치”를 가리킨다는군요. ‘눈·눈금·눈꽃·눈결’이나 ‘빛·꽃’으로 풀어냅니다. ‘길·결·셈’이나 ‘값·자리·칸’이나 ‘힘·심’으로 풀어내어도 어울려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지수’를 열한 가지 더 싣는데 싹 털어냅니다. ㅅㄴㄹ



지수(止水) : 1. 흐르지 않고 괴어 있는 물 2. 마음이 고요하고 움직임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물이 새거나 흘러드는 것을 막음

지수(地水) : 땅속의 물을 이르는 말

지수(地髓) : [한의] 날로 말린 지황의 뿌리. 열을 내리고 보혈(補血)과 지혈(止血) 따위의 약재로 쓰인다 = 생건지황

지수(池水) : 연못의 물

지수(指授) : 지시하여 가르쳐 줌

지수(祗受) : 임금이 내려 주는 물건을 공경하여 받음

지수(脂手) : 기름기가 많은 손

지수(脂水) : 1. 지분을 씻어 낸 물 2. 기름기가 있는 땟물

지수(紙數) : 종이의 수. 또는 지면의 수

지수(智手) : [불교] 진언종에서, 결인(結印)할 때에 오른손을 이르는 말

지수(智水) : 1. 슬기로운 사람은 사리에 밝아 막힘이 없는 것이 흐르는 물과 같아서 물과 친하여 물을 즐김을 이르는 말. 《논어》 〈옹야편(雍也篇)〉에 나오는 말이다 = 지자요수 2. [불교] 여래의 명철한 지혜를 깨끗한 물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3. [불교] 관정(灌頂)에 쓰는 물



분명 ‘우리 아이들’의 행복지수는 그만큼 올라갈 겁니다

→ ‘우리 아이들’은 그만큼 더 즐겁습니다

→ ‘우리 아이들’은 틀림없이 더 즐거울 수 있습니다

《아버지 당신은 산입니다》(안재구·안영민, 아름다운사람들, 2003) 48쪽


그것을 밑바탕으로 생태적 생활 정도인 에코eco 지수를 알 수 있고

→ 이를 밑바탕으로 푸른살림을 재는 푸른눈금을 알 수 있고

→ 이를 밑바탕으로 숲살림을 헤아리는 풀빛눈을 알 수 있고

→ 이를 밑바탕으로 푸른길을 살피는 숲꽃을 알 수 있고

《환경가계부》(혼마 마야코/환경운동연합 환경교육센터 옮김, 시금치, 2004) 182쪽


불쾌지수가 장난 아닌가 보네

→ 장난 아니게 짜증스럽나 보네

→ 장난 아니게 싫은가 보네

《C.M.B. 박물관 사건목록 13》(카토 모토히로/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10) 7쪽


지능지수가 떨어졌다는 말에 잠시라도 동요했다는

→ 머리힘이 떨어졌다는 말에 살짝이라도 흔들렸다는

→ 똑힘이 떨어졌다는 말에 한동안이라도 술렁였다는

《신을 찾아서》(바버라 에런라이크/전미영 옮김, 부키, 2015) 51쪽


도시에 살 땐 성평등지수에서 대한민국 남성 중 상위 5퍼센트 안에 드는 남자 소리를 듣던 사람이

→ 서울에 살 땐 어깨눈금에서 우리나라 사내 가운데 위쪽 다섯금에 든다는 소리를 듣던 사람이

《회사를 해고하다》(명인, 삼인, 2018) 200쪽


이런 널찍한 닭장에 사는 닭들은 행복지수가 높을 거야

→ 이런 널찍한 닭우리에 사는 닭은 즐겁겠지

→ 이런 널찍한 닭울에 사는 닭은 신나겠지

《파랑 여자 분홍 남자》(김경옥, 내일을여는책, 2021) 5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