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로라를 찾아라, 시걸호! 세젤잼 과학동화 3
전민희 지음, 박진아 그림 / 한솔수북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2023.8.31.

읽었습니다 251



  바다하고 하늘이 맞닿은 길을 어린이한테 부드럽고 재미나게 들려주려고 엮었다고 여길 만한 《오로라를 찾아라, 시걸호!》일 테지만, 아무리 되읽어 보아도 썩 어린이한테 못 맞추었구나 싶어요. 동화라기보다 영화나 연속극처럼 꾸미는 얼거리인데, 굳이 ‘사람이름’이나 ‘배이름’을 낯설게 붙여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시걸호’가 뭔가요? ‘갈매기 배’라고 하면 됩니다. 이모저모 꾸미느라, 또 억지스럽고 좀 우스꽝스레 줄거리를 붙이느라 애썼구나 싶은데, 이런 얼거리나 줄거리는 오히려 바다를 읽거나 하늘을 알기 어렵거나 어지러운 걸림돌입니다. 《오늘 날씨는 물》이라는 아주 잘 엮고 빚은 그림책이 있습니다. 《오늘 날씨는 물》은 하늘하고 물이 얽힌 수수께끼를 상냥하면서 아름답고 사랑스레 풀어냈습니다. 구태여 《오로라를 찾아라, 시걸호!》처럼 어거지를 쓸 까닭이 없고, 우스꽝스레 그려야 하지 않습니다. 무엇보다도 ‘바다·바람’은 ‘과학지식’이 아닌 삶입니다.


《오로라를 찾아라, 시걸호!》(전민희 글·박진아 그림, 한솔수북, 2019.7.29.)


ㅅㄴㄹ


고개를 설레설레 흔들게 될 거예요

→ 고개를 설레설레 흔들 테지요

→ 고개를 설레설레할 테지요

→ 고개를 흔들 테지요

11쪽


아무리 생각해도 정말 대책이 없군요

→ 아무리 봐도 참말 생각이 없군요

→ 아무리 봐도 참으로 멍청하군요

30쪽


호기심이 가득한 토토는 금세 어린아이 말투로 말했어요

→ 궁금한 토토는 어느새 어린아이처럼 말해요

64쪽


대기가 그렇게 중요한 거군요

→ 하늘이 그렇게 대수롭군요

→ 바람이 그렇게 크군요

92쪽


마녀를 통해 깨닫게 되었어요

→ 바람아씨한테서 배웠어요

→ 바람아씨가 일깨웠어요

9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