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8.23.


《유기농을 누가 망치는가》

 백승우와 네 사람, 시금치, 2013.9.5.



두바퀴로 천등산을 넘는다. 시골에서도 숲길을 걷거나 달리는 사람은 드물다. 서울에는 숲길이 없다시피 하기에 걷거나 달리기 어렵다. 들숲바다를 곁에 두어도 미닫이(창문)를 꽁꽁 틀어막으면 덧없다. 먼발치 풀꽃나무를 찾아다니기만 할 적에는 보금자리가 사납다. 시골은 스스로 풀빛을 등지고, 서울은 스스로 죽음터에 갇히는 얼거리이다. 오늘은 포두중학교 1학년 푸른씨를 만나서 이야기를 들려주고 노래꽃 열여섯 꼭지를 적어서 건넨다. 스스로 노래(시)를 쓰는 일도, 노래를 배우는 일도 없구나. ‘진로·직업’하고 ‘특기·적성’에 따라 ‘돈벌이’만 찾아 주어야 할까? 마음이 홀쭉하거나 가난한 채 몸뚱이만 자라면 어떤 삶일까? 《유기농을 누가 망치는가》를 읽었다. 잘 쓴 글을 담았는데, 우리는 ‘관행농’도 ‘유기농’도 할 까닭이 없다. 왜 그럴까? 우리는 ‘짓기’를 할 노릇이다. ‘만들기’는 멈출 일이다. 살림짓기란, ‘밥살림·옷살림·집살림’뿐 아니라 ‘마음살림·마을살림·서로살림’이고, ‘사랑짓기’로 흐른다. ‘만들기’는 때려세우고 올려세울 뿐이며, 똑같은 틀로 짜맞춘다. ‘지음이’는 풀죽임물(농약)을 안 쓰고, 안 꾸민다. ‘만들기’는 스스로 죽이고 서로서로 치고받으면서 겨룬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