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3.8.22.
오늘말. 작다
여기 이 꽃은 작고, 저기 저 꽃은 크다고 여기지만, 꽃눈길로 본다면 크기란 없이 모두 꽃입니다. 여기 이이는 조그맣고, 저기 저이는 커다랗다고 여기는데, 뭇눈길로 본다면 사람도 큰사람이나 작은사람이 따로 없어요. 작은님도 큰님도 아닌 온님입니다. 어린이가 있거나 어른이 있어요. 푸른씨가 있고 어린씨가 있어요. 때로는 우리 스스로 낮은소리나 작은소리로 바라봅니다. 조약돌 같은 작은풀이라고 느낍니다. 굳이 크게 벌이고픈 마음이 없으니 작은모임을 여미고, 작은나무라는 몸짓으로 천천히 나아가려고 합니다. 삶에 크기란 없습니다만, 구태여 큰나라를 바랄 일이 없어요. 작은나라이면 넉넉합니다. 꼬마누리여도 즐거워요. 힘이 세야 할까요? 돈이 넘쳐야 할까요? 이름을 날려야 할까요? 몇몇만 목소리를 내는 큰누리가 아닌, 뒤켠으로 밀리는 사람이 수두룩한 큰터가 아닌, 작은누리에서 작은이웃으로 만나서 작은빛으로 어우러질 만합니다. 우리 마을은 작은숲입니다. 우리 집에서는 서로 작은별입니다. 비가 내리면서 하늘에 묻은 티끌을 씻고, 땀을 실컷 내고 뛰놀면서 몸에 묻은 티를 벗습니다. 기지개를 켜고 일어나서 눈곱을 뗍니다.
ㅅㄴㄹ
낮다·작다·적다·조그맣다·낮은소리·작은소리·작은겨레·작은길·작은힘·작은돌·조약돌·작은이·작은님·작은벗·작은사람·작은이웃·작은별·작은빛·작은숲·작은풀·작은꽃·작은모임·작은무리·작은판·작은자리·작은나무·거의 없다·몇 없다·보기 드물다·얼마 없다·몇·몇 가지·몇뜻·몇몇·몇힘·뒤·뒤쪽·뒤켠·뒷자리·뒷칸·뒷자락·어린이·어린님·어린씨·여린이·뜸하다·초라하다·한 줌·한 주먹·눈곱·콩·콩알·티·티끌·꼬마나라·꼬마누리·여린나라·여린누리·작은나라·작은누리 ← 소수(小數), 소수의, 소수자, 소수파, 소수의견, 소수발언, 소수요구, 소수정예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