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시모토 바나나의 아버지가 들려주는 내안의 행복
요시모토 다카아키 지음, 김하경 옮김 / 호박넝쿨 / 2003년 11월
평점 :
품절


숲노래 책읽기 2023.8.7.

읽었습니다 245



  사람을 바탕으로 놓으면 ‘등교거부’ 같은 말을 안 씁니다. 사람이 아닌 나라(정부·사회)나 틀(학교)을 바탕에 놓기에 ‘등교거부’라 일컫습니다. 아이들은 “안 갈” 뿐입니다. ‘틀어박힌다’고 여길는지 모르나, ‘집에’ 있을 뿐입니다. 사람을 사람으로 바라본다면 ‘숨다’가 아닌 ‘손사래’인 줄 느낄 수 있어요. 틀에 가두려고 하는 굴레를 문득 느끼거나 뼛속으로 깨닫기에 틀(학교)을 멀리하겠다는 뜻입니다. 《내 안의 행복》을 읽었습니다. 글님은 ‘등교거부’를 한다는 아이들을 어쩐지 외곬로 바라보는 듯싶습니다. 틀을 안 따르려는 아이들이 때로는 또래끼리 만나기도 하지만, 집에서 조용히 지내면서 하루를 돌아보기도 합니다. ‘집콕’은 나쁜가요? 또는 좋은가요? 굳이 나쁘거나 좋다고 갈라서 따져야 할까요? 아득히 먼 옛날부터 모든 어버이는 딸아들을 낳아 보금자리에서 풀꽃나무를 품으면서 사랑으로 돌보았습니다. 배움터가 없어도 모든 곳이 배우며 살림하는 자리였어요. 옛날하고 오늘날은 다르다지만, 서로 사랑으로 마주하면서 오늘을 새롭게 짓는 숨결은 언제나 매한가지라고 느낍니다.


ㅅㄴㄹ


《내 안의 행복》(요시모토 다카아키/김하경 옮김, 호박넝쿨, 2003.11.10.)


등교거부를 하는 학생은 대체로 학교에 다니는 것보다 비슷한 생각을 갖고 있는 또래들과 모여 지내는 편이 이득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사람들은 다양한 사상과 생각을 가지고 존재하지만 그것을 떠나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는 그들의 주장은 성립되지 못한다. 자신을 특별한 상황에 가두어 버리기 때문에 사회를 향해 어떤 소리를 낼 수 없게 된다. (55쪽)


+


등교거부를 하는 학생은 대체로 학교에 다니는 것보다 비슷한 생각을 갖고 있는 또래들과 모여 지내는 편이 이득이라고 생각한다

→ 집순이나 집돌이는 으레 배움터에 다니기보다는 비슷하게 생각하는 또래하고 모이거나 지내는 쪽이 낫다고 여긴다

55쪽


태내에 있을 때는 탯줄로 영양분을 공급받고

→ 뱃속에 있을 때는 배꼽줄로 밥을 먹고

74쪽


가해 학생을 꾸짖는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

→ 때린이를 꾸짖는다고 해서 말썽이 풀리지는 않는다

7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