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3.7.29.
숨은책 851
《충청남도 민담》
최운식 엮음
집문당
1980.10.30.
‘민담’이란 낱말을 처음 듣던 날, “무슨 담을 민다는 소리인가?” 하고 혼잣말을 했습니다. 어린이한테는 낯설며 어려운 한자말입니다. 그러나 숱한 이들은 어린이가 알아듣기 수월할 뿐 아니라, 먼 옛날부터 흐르거나 이은 우리말을 오히려 멀리합니다. 글이나 책을 쓰는 이들은 ‘민담·속담·설화·신화·민화’ 같은 일본스런 한자말을 줄줄이 읊습니다. 우리말 ‘이야기·얘기·옛말·수다’는 ‘학문적·학술적’이지 않다고 여깁니다. 《충청남도 민담》은 뜻있게 나온 꾸러미입니다. 엮은이는 충청남도 곳곳을 다니면서 ‘글 아닌 말로 살림을 짓는 어르신’을 만나서 ‘이야기’를 듣습니다. 다만, 1980년 언저리에도 이미 시골 할매할배는 보임틀(텔레비전) 말씨에 물들었고, 흙두레(농협)에서 쓰는 말씨에 젖었습니다. 말끝 빼놓고는 충청말이라 여길 대목을 찾기가 어려워요. 아마 앞으로는 더더욱 시골말이 사라질 테고, 머잖아 마을말·고을말뿐 아니라 ‘마을얘기·고을수다’도 자취를 감출 만합니다. 손수짓기를 잊으면 낱말도 이야기도 손수 안 짓거든요.
“밥이라니? 에따, 그게 지지리다.” “지지리가 아니구유 사람유. 그게 어디 지지리여. 내가 봤다구. 사람이라구,” “그러믄 니가 협조를 좀 해다우. 나도 그놈을 밤새 태워 가지구 왔음께 원수를 갚으야겠쓴게.” (21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