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5.21.


《식민지 한자권과 한국의 문자 교체》

 임상석 글, 소명출판, 2018.12.31.



이달 5월 부산 이야기꽃마실을 하며 이틀을 묵은 ‘몽베르’ 지기는 “평일에는 5만 원인데, 주말에는 6만 원 받는데 미안합니다.” 하고 얘기한다. 숲노래 씨는 앞으로도 이 길손채에서 묵으려 한다. 걷는다. 부산 중앙동·광복동은 사람물결이다. 부산 사투리에 서울말에 여러 나라 말이 춤춘다. 그늘길은 붐비고, 볕길은 한갓지다. 따스한 오월볕을 듬뿍 누리려는 사람이 드물지만 ‘조금은 있’다. 거님길을 다 차지하고서 휘적휘적 걷는 사람을 비켜서 지나가려다가 오른목뒤를 삐끗하다. 부산 사상에서 고흥 가는 버스를 기다린다. 여기에서도 볕자리만 한갓지고, 그늘자리는 우글우글하다. 볕자리 기둥에 괭이꽃이 돋았다. 고흥읍에서 버스를 내려 기다린다. 18시 30분 시골버스를 타고 마을 앞에 내리니 개구리랑 뻐꾸기가 노래로 반긴다. 우리 보금자리에 짐을 푼다. 《식민지 한자권과 한국의 문자 교체》를 읽었다. 이 책에 나온 한자말을 한자를 드러내어 적으면 ‘일본책’하고 똑같으리라. 우리는 아직 ‘우리글’을 안 쓰거나 못 쓴다. ‘무늬만 한글’을 쓴다. ‘국어 교사’는 있되 ‘우리글 길잡이’는 없다. ‘치레하는 글꾸밈’은 책도 얘기(강의)도 넘치지만, ‘스스로 사랑하며 살림하는 숲빛으로 글쓰기’는 아주 작은 씨앗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