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7.13.


《아이들은 나무처럼 자란다》

 김소라·진병찬 글, 비온후, 2023.6.10.



다시 비가 오되, 비가 그친 나절도 길다. 해가 나는 동 마는 동인데, 이따금 해를 본다. 해가 나오면 마당에 서서 빙그르르 해맞이춤으로 반긴다. 구름이나 비를 안 반기지 않는다. 해도 바람도 구름도 비도 별도 반긴다. 해가 드문 날이 이으니, 이 해가 우리를 얼마나 살리는가 하고 새삼스레 되새기면서 바라본다. 조용히 하루를 보내다가 저녁에 두바퀴를 달린다. 들길을 가르면서 구름을 본다. 하루라도 비가 그치면 마을마다 비닐쓰레기를 태우거나 풀죽임물을 뿌리는데, 오늘은 좀 뜸하다. 수박 한 통을 장만한다. 등짐으로 나른다. 《아이들은 나무처럼 자란다》를 읽었다. 부산에서 큰고장살림보다는 숲살림을 펴고 나누려는 분들이 걸어온 발자취를 갈무리했다. 뜻깊은 하루를 아이들하고 펴는 마음이 반갑다. 다만, 어린이 곁에 서는 어른이라면 ‘말(우리말)’을 더 들여다보아야지 싶다. 어른(교사)끼리 쓰는 말씨도 안 쉽고, 책에 드러나는 말씨도 꽤 아쉽고 얄궂다. 마음에 푸른빛을 담는 배움길이라면, 푸른빛을 푸른말로 갈무리할 때라야 비로소 푸른씨앗으로 싹트겠지. 아무것이나 가르치지 않는다면, 아무 낱말이나 쓰지 않도록, ‘마음을 가꾸는 말씨’를 어른(교사)부터 더 깊고 넓게 배워서 ‘숲말’을 쓸 적에 아름답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