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7.4.


《마사코의 질문》

 손연자 글·이은천 그림, 푸른책들, 1999.8.20.



해가 나온다. 이불·깔개·베개를 말린다. 열흘 넘게 이은 비날을 마치고 볕날로 돌아서는가. 두바퀴를 달려 면소재지 우체국을 다녀온다. 물결치는 구름을 바라본다. 멧자락에 걸린 안개 같은 구름을 본다. 땅거미가 깔린 밤에 다시 비가 온다. 벌써 열흘이 가도록 별바라기를 누리지 못 한다. 해를 본 날은 별을 보기를 바라는 마음인데, 비구름은 ‘비랑 구름’을 더 바라보라고 가볍게 나무라는 듯싶다. 《마사코의 질문》을 오랜만에 되읽었다. 아이들한테 읽힐까 하고 되읽었는데, 아이들한테 못 읽히겠다고 느꼈다. 처음 이 책이 나오던 1999년을 돌아보면, 책마을 이웃이나 어린이도서연구회 분들도 “왜 ‘마사코가 묻다’가 아닌 ‘마사코의 질문’처럼 일본말씨로 이름을 붙였나?” 하고 아리송하게 여겼다. 일본이 총칼로 이 나라를 짓밟은 지난날을 되새기자는 줄거리를 담은 책이니, 책이름이 더더욱 얄궂다. 줄거리는 ‘미움’으로 가득하다. 미운 그놈들을 똑같이 짓밟아야 한다는 불길이 그득하다. 오늘날 둘레를 보면, 온통 싸움밭 같다. ‘미워죽겠다’고 여길 몹쓸놈을 앞세워서 ‘옳다(정의)’고 목소리를 넘치는 수렁이다. 우리가 어른으로서 어질게 이 보금자리와 마을과 숲을 돌보고 가꾸는 슬기를 밝히는 말글이 너무 없다.


ㅅㄴㄹ


그 말들은 두렷두렷 살아나 승우에게로 왔습니다

→ 그 말은 두렷두렷 살아나 승우한테 옵니다


이제 ‘산’과 ‘하늘’과 ‘별’로 불리자

→ 이제 ‘메’와 ‘하늘’과 ‘별’이라 하자


아직 어려서 잘 모를 거다만 나라와 민족도 마찬가지란다

→ 아직 어려서 잘 모르겠지만 나라와 겨레도 마찬가지란다


유리코의 웃음소리가 더 커졌다

→ 유리코가 더 크게 웃는다

→ 유리코는 더 활짝 웃는다


막대기는 허공에다 포물선을 그리며

→ 막대기는 하늘에다 팔매를 그리며

→ 막대기는 위로 비스듬히 날다가


근동에 고래등 같은 기와집은 다

→ 마을에 고래등 같은 기와집은 다

→ 이웃에 고래등 같은 기와집은 다

→ 가까이 고래등 같은 기와집은 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