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다서 - 한국 차 문화사 자료 집성
정민.유동훈 지음 / 김영사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2023.5.30.

읽었습니다 228



  우리말은 우리말입니다. ‘한글’은 우리말을 담으면서, 뭇소리를 담는 그릇입니다. 우리는 늘 잊어버리는데, 우리가 쓰는 글씨인 ‘한글’은 두 가지를 함께 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단히 놀랍고, 이 대목을 눈여겨본 이웃나라(전세계)에서는 우리가 쓰는 글씨를 높이 삽니다. 먼저, 우리 글씨인 한글은 우리가 하는 말을 고루 담아내고, 둘째로 이 한글은 바른소리(정음·훈민정음)인 터라, 우리 말소리가 아닌 새소리에 바람소리에 이웃소리(외국어 발음)까지 두루 담을 수 있습니다. 《한국의 다서》를 읽었습니다만, 무늬만 한글인 책입니다. 왜 “우리 차 이야기”나 “한겨레 차살림”처럼 말을 하거나 글을 쓰지 못 할까요? 한글로 적을 줄은 알되 우리말은 모르는 탓입니다. 잎물(차)은 마실 줄 알되, 모든 ‘차’가 ‘잎을 말리고 물을 끓여서 우리는 물’인 줄 모르는 탓입니다. 소리만 딴 ‘차’라 하면 누구나 모르겠지요. 잎물은 해바람비를 머금은 풀빛입니다. 삶을 알아야 숲을 읽겠지요.


《한국의 다서》(정민·유동훈, 김영사, 2020.7.13.)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