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의 눈물 산하어린이 9
권정생 지음, 신혜원 그림 / 산하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어린이책 / 숲노래 동화읽기 2023.5.6.

맑은책시렁 281


《하느님의 눈물》

 권정생

 산하

 1991.1.5.



  《하느님의 눈물》(권정생, 산하, 1991)은 사람 곁에서 하늘빛을 머금고 살아가는 이웃이 어떤 마음으로 하루를 그리면서 생각을 가꾸는가 하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권정생 님은 아픈 몸으로 살아가는 나날을 되새기면서 천천히 글을 여미었습니다. 사람들이 다툼질을 멈추고서 어깨동무로 나아가는 새길을 스스로 찾기를 바라면서 다시금 기운을 내어 붓을 쥐었습니다.


  다툼질은 어떻게 멈출 수 있을까요? 때린이(가해자)더러 “네가 잘못했어. 뉘우치고 값을 치러!” 하고 다그치면 다툼질을 멈출까요? 끝없이 불거진 싸움박질(전쟁)을 ‘역사’란 이름으로 갈무리해서 읽히고 가르쳐서 ‘미움(분노)·밉놈(적군)’을 아이들 마음에 씨앗으로 심으면 멈출까요?


  새끼 토끼는 이슬하고 바람만 머금어도 얼마든지 살아갈 수 있습니다. 사람도 이슬하고 바람이랑 빗물하고 냇물에 햇볕하고 별빛을 머금으면 얼마든지 살아갈 수 있어요. 잘 봐야 합니다. ‘모든 덩이진 밥’은 ‘해바람비’를 머금습니다. 우리는 ‘고기나 낟알이나 열매나 남새’라는 덩이를 이룬 ‘해바람비’를 밥으로 맞아들이기에 목숨을 이어요. 그래서 처음부터 ‘덩이(몸)를 이룬 이웃’인 닭이나 벼나 능금이나 밀이 아니라, 해바람비를 사랑으로 맞아들이는 길을 열면, 아무도 안 굶고 아무도 안 아프고 아무도 눈물이 없이, 늘 웃음꽃으로 피어날 만합니다.


  이 나라(정부)를 봐요. 북녘을 보고, 일본과 중국과 러시아와 미국을 봐요. 다들 총칼(전쟁무기)을 무시무시하게 때려짓습니다. 총칼에 돈을 허벌나게 퍼붓고, 총칼을 다루는 싸울아비(군인)를 거느리려고 또 돈을 허벌나게 들이붓습니다.


  온누리 어느 나라도 안 가난합니다. 모든 총칼과 싸울아비를 없애면, 모든 사람은 쓸데없이 얽매일 까닭이 없이 넉넉하게 살아갈 만합니다. 우리가 스스로 짓고 일구는 열매를 나라(정부)가 총칼·싸울아비에 몽땅 들이부을 뿐 아니라, 싸움판(전쟁)하고 얽혀 뒷돈을 끔찍하게 빼돌리기에, 가난한 이가 끊이지 않고 배부른 이들은 배가 터지려고 합니다.


  《하느님의 눈물》은 어린이부터 읽는 글입니다. 어린이부터 스스로 마음을 달래어 빛나는 숨결로 저마다 깨우치도록 북돋우려는 글입니다. 우리는 오늘부터 뭘 해야 하는가를 스스로 찾고 생각해야 합니다. 왜 총칼을 자꾸 만들거나 싸울아비를 왜 잔뜩 두어야 하나요? 누구나 넉넉히 누릴 수 있는 터전을 이루면 훔치려는 이가 없게 마련 아닐까요? 누구나 넉넉한데, 아이들을 배움수렁(입시지옥)이라는 쳇바퀴에 몰아넣을 까닭이 있나요? 누구나 넉넉한데, 쓰잘데기없는 일본 한자말로 뜬구름잡는 부스러기(인문지식·교양·정보)를 외우거나 익히는 데에 하루를 허투로 흘려야 할 까닭이 있나요? 누구나 넉넉한데 구태여 쇳덩이(자동차)를 몰아야 하나요? 누구나 넉넉한테 굳이 매캐한 서울(도시)에서 잿집(아파트)을 사들여서 지내야 하나요?


  사람들이 시골에서 안 살고 서울로 몰리는 까닭을 알기는 참 쉽습니다. 스스로 안 넉넉하다고 여기니, 돈벌이·이름팔이·힘자랑을 하려고 서울로 몰립니다. 나눔돈과 두레와 어깨동무를 하려는 마음이라면, 스스럼없이 서울을 떠나 시골이며 들숲바다에 가만히 안기게 마련이요, 서울에서도 기스락 골목집에 호젓이 머물 테고요.


ㅅㄴㄹ


“어머나! 그럼 하느님, 저도 하느님처럼 보리수나무 이슬이랑, 바람 한 줌, 그리고 아침햇빛을 먹고 살아가게 해주셔요.” (16쪽)


“엄마, 왜 있지도 않은 도깨비들을 있다고 거짓말했어요?” “그 …… 글쎄, 너희 아버지가 그러고, 또 다른 어른들 모두가 그러니까 나도 그런 줄 알았지.” 아기 다람쥐는 엄마 다람쥐를 데리고 고개 너머 쫑쫑이네 엄마 다람쥐에게 놀러갔습니다. 그리고 쫑쫑이네 엄마 다람쥐도 쫑쫑이와 함께 고개 이쪽 똘똘이네 집에 놀러왔습니다. (37쪽)


깽깽이는 슬그머니 밖으로 나갔습니다. 그리고는 입고 있던 거치장스런 옷을 훨훨 벗어던져 버렸습니다. 깽깽이는 푸른하늘을 시원하게 날아다니며 모든 아기 까마귀에게 얘기했습니다. “진짜 훌륭하고 아름다운 모습은 자기 모습 그대로 사는 거야.” (48쪽)


울타리는 많은 풀이 우거져 벌레들이 많았습니다. 자벌레도 기어가고, 여치도 살았습니다. 호박잎에는 청개구리도 파란색으로 변장을 하고 앉아서 놀았습니다. 모두들 뜨거운 여름볕을 싫다 앓고 자라고만 있었습니다. 쬐그만 꼬마벌레들까지, 참으로 신기하게 살고 있는 것입니다. (14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