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쉬는 하루 (2023.4.28.)
― 인천 〈딴뚬꽌뚬〉
며칠 앞서 인천으로 이야기마실을 올 적에는 미처 들르지 못 한 〈딴뚬꽌뚬〉입니다. 오늘 인천으로 다시 찾아올 일이 있기에 들를 수 있으리라 여기며 휘적휘적 걸어서 찾아갑니다. 그런데 〈딴뚬꽌뚬〉에 이르고 보니 쇠날(금요일)은 쉰다고 하는군요. 어, 그랬나? 아, 그랬구나.
책숲마실을 다니면서 쉬는날을 잘 안 살핍니다. 여는때도 잘 안 살펴요. 그저 그곳에 책집이 있으니 선들선들 바람을 품고 햇볕을 머금으면서 걸어갑니다. 쉬는 〈딴뚬꽌뚬〉에 등짐을 내려놓습니다. 등판을 살짝 쉽니다. 바닥에 쪼그려앉아 허벅지랑 무릎을 토닥입니다.
이른바 헛걸음을 한다면 책을 둘러볼 수 없고, 책을 장만하지 못 합니다. 그러나 헛걸음을 하기 때문에 ‘쉬는날 책집 앞에 내놓는 알림판’을 만납니다. 다리를 쉬고 등허리를 펴면서 ‘쉬는날을 알리는 판’을 이모저모 바라보면서 찰칵찰칵 담습니다. 알림판 글씨하고 그림이 정갈하구나 하고 새록새록 되새깁니다.
스스로 책집을 언제부터 다녔는지 잘은 모르나, 여섯일곱 살 무렵에 언니 심부름으로 만화책을 사러 다녀온다든지, 어머니 심부름으로 ‘별책부록 많이 딸린 여성잡지’를 골라서 사오곤 했습니다. 언니는 귀찮아서 동생한테 시키고, 어머니는 바빠서 막내한테 시킵니다.
책심부름은 싫지 않습니다. 다른 심부름도 싫거나 지겹다고 여긴 적이 없습니다. 심부름거리를 받아 신나게 마을길을 가로질러요. 어제는 이쪽 길을 달려서 심부름길을 갔으면, 오늘은 다른 쪽으로 돕니다. 이튿날에는 또다른 길을 찾아서 달려요. 걸어서 심부름을 간 적은 없다고 느껴요. 늘 달리기를 했습니다. 왜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어린이는 달리기를 즐기거든요.
어린 예닐곱 살 즈음부터 어린배움터를 거쳐 푸름배움터를 지나 20살에 인천을 떠나 서울에서 열린배움터(대학교)를 다니다가 그만둔 뒤로도 내내 ‘책집 쉬는날·쉬는때’는 안 쳐다보고 그냥 찾아갔습니다. 요새는 마실길이 좀 머니까 미리 챙기기도 하지만, 그래도 웬만하면 그냥 가요. 멀디먼길을 달려가거나 걸어갔는데 쉬거나 닫으면 ‘쉬거나 닫는다고 알리는 글자락’을 찰칵 담습니다. 책집을 찾아서 마을이며 골목을 거닐던 모습을 돌아보고, 시내버스를 타고 지나온 길을 짚어요.
책숲마실은 책집만 헤아리지 않습니다. 책집을 둘러싼 마을을 함께 헤아립니다. 이 책집이 품고 싶은 마을빛을 헤아리면서 두 손에 책 몇 자락을 품는 이야기마실길이 책숲마실이라고 여깁니다. 17시에 일찍 길손집에 깃들어 바로 뻗었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