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넋/숲노래 우리말

곁말 101 물고물리다



  꼬리에 꼬리를 문다는 옛말이 있습니다. ‘잇다’라 하면 될 텐데, 굳이 다른 삶을 빗대어 말을 엮습니다. “꼬리에 꼬리를 물다”를 줄이면 “물고 물리다”나 “물리고 물다”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으나 ‘물고물리다’나 ‘물리고물다’처럼 붙여 봅니다. 한 낱말로 쓸 수 있고, 한 낱말이 어울리지 싶어요. 어느 날 어느 삶에서 문득 깨어난 새말이거든요. 이와 비슷하게 “돌고 돌다”가 있는데 굳이 띄기보다는 ‘돌고돌다’처럼 한 낱말로 삼을 적에 쓰기에도 낫고 뜻이 확 들어올 만해요. 쓰임새를 넓히면서 살릴 적에 즐거워요. 쓰임결을 새로 찾으면서 나눌 적에 넉넉합니다. ‘물고물리는’ 일이란 싸움·다툼·겨룸·얽힘이란 자리에 곧잘 쓰는데, “물고물리듯 떠오르는 생각”처럼 써도 어울려요. 궂거나 기쁜 일은 ‘돌고돌게’ 마련이기에 섣불리 나서기보다는 차분히 둘레를 바라볼 줄 알 적에 아늑하지요. 오기도 하고 가기도 하기에 ‘오가다’예요. 주기도 하고 받기도 하기에 ‘주고받다’예요. 이어가는 말씨인 ‘-고’로 새말을 차곡차곡 잇습니다. 너랑 내가 서로 만나는 길에 ‘-고’를 넣습니다. 생각하고 그리고 쓰고 나누고 얘기하고 폅니다. 만나고 헤어지고 노래하고 춤춥니다. 하고많은 꿈을 고이 품습니다.


ㅅㄴㄹ


물고물리다 (물다 + -고 + 물리다) : 1. 서로 붙거나 겨루거나 다투거나 싸우기를 이어가다. 2. 서로 붙거나 닿거나 이어가다. 3. 서로 힘이 비슷하여 어느 쪽이 쉽게 이기거나 지지 않아, 서로 때리고 받기를 이어가다. (= 물리고물다. ← 접전, 용호상박, 새옹지마, 치열, 맹렬, 격돌, 격전, 신경전, 공방攻防, 난전亂戰, 박빙, 생존경쟁, 경쟁, 각축전, 난타전, 승강昇降, 일진일퇴, 쟁탈전, 혈전血戰, 혈투血鬪)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