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카드 2023.2.19.해.



네가 버스를 타거나 전철을 탈 적에 ‘카드’를 대지. 조그마한 판 하나를 대고서 무엇이든 타고다닐 수 있어. ‘카드’란 무엇일까? ‘교통카드·신용카드·체크카드’가 있고, ‘크리스마스카드·생일카드’가 있어. 돈처럼 다루는 카드에 글·그림을 담는 카드는 다 작아. 작으면서 가벼워. 그런데 이 작으면서 가벼운 카드에 ‘네가 쓰고 싶은 돈’을 넉넉히 담고, ‘네가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를 즐겁게 담는단다. 넌 언제 어디를 가더라도 ‘카드’를 챙기지. 그래, 그러면 “네 몸에 이바지하는 살림”을 ‘카드(신용카드)’에 담는다면 “네 마음을 이루는 살림”을 ‘카드(그림카드)’에 담을 수 있겠지? 네 꿈을, 네 사랑을, 네 뜻을, 네 앞길과 오늘을 ‘카드(그림카드)’에 담을 만해. 다시 말해서 ‘꿈그림’을 아주 조그마한 종이에 글이나 그림으로 가볍게 담고서 늘 품고 다닐 만하지. 알 수 있을까? 네가 깃든 집에는 네가 눈으로 보고 다시 마음에 담도록, ‘꿈그림(그림카드)’을 붙여 보렴. 네가 바라보는 ‘꿈그림 카드’를 언제 어디에서나 떠올릴 수 있도록 마음에 담으렴. ‘카드는 작고 가볍다’는 대목을 되새기기를 바라. 네가 스스로 이루는 꿈은 ‘카드’처럼 언제나 작고 가볍게 그려서 늘 거뜬하고 넉넉하게 품기를 바라. 꿈이 작고 가볍기에 삶을 얼마든지 마음껏 펼치면서 누리지. 꿈그림을 작고 가벼운 ‘쪽(카드)’에 담아서 늘 품을 수 있도록 ‘씨앗’으로 쥐고서 심으렴. 그래, ‘카드 = 꿈그림 = 작고 가벼운 것 = 날개(자유) = 씨앗’이야. ‘말씨·마음씨·글씨’ 같은 ‘씨앗’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