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빛꽃 / 숲노래 사진책 2023.2.10.

사진책시렁 115


《MAGAZINE 00 vol.1 covid-19 pandemic》

 커뮤니케이션실·연구조정실

 국립중앙의료원

 2020.12.28.



  웬만한 아이들은 웬만한 ‘나이든 사람들’처럼 어느 켠으로 물들거나 길든 눈으로 쳐다보지 않을 뿐더러, 눈치에 따라 말을 하지 않습니다. 누구 앞이니까 굽신거리는 ‘나이든 사람들’과 달리, 아이들은 누구 앞이건 대수롭지 않게 스스로 놀던 대로 놉니다. ‘나이든 사람들’은 높은자리·낮은자리를 가릅니다. 스스로 높은자리라고 여기면 둘레 사람들을 내려다보고, 스스로 낮은자리라고 여기면 으레 굽신굽신 고분고분 몸짓입니다. 아이들은 높낮이를 안 가르고서 놀아요. 같이 놀면 동무요, 같이 안 놀면 아랑곳않으면서 혼자 꿈누리로 날아갑니다. 《MAGAZINE 00 vol.1 covid-19 pandemic》처럼 한글은 하나조차 없이 알파벳으로 그득한 꾸러미는 ‘중국에서 퍼뜨린 돌림앓이’를 둘러싸고서 돌봄터(병원) 사람들을 돌사람(우상)으로 깍듯이 높이려는 속뜻을 고스란히 풍깁니다. 아이는 어른하고 대면 어디가 아프더라도 매우 빨리 낫습니다. 아이는 넘어지거나 부딪혀도 안 다치기 일쑤입니다. 아직 ‘나이든 사람들’이 두렴씨앗·무섬씨앗을 안 심었으면 아이는 늘 말끔하고 말짱하며 눈부십니다. 입가리개·미리맞기·틈새두기 따위로 두렴씨앗·무섬씨앗을 심은 민낯을 두툼한 꾸러미에서 물씬 느낍니다. 그들은 목돈을 펑펑 썼습니다.


* ‘어른스럽지 않은 이’를 ‘어른’이라 할 수 없기에 ‘나이든 사람들’이라고 적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