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은 어디로 갔을까? 과학 그림동화 15
버나드 모스트 글 그림, 이은석 옮김 / 비룡소 / 200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2.8.

그림책시렁 1038


《공룡은 어디로 갔을까?》

 버나드 모스트

 이은석 옮김

 비룡소

 2003.4.14.



  큰이(공룡)는 어디로 갔을까요? 영어 ‘dinosaur’를 일본에서 ‘공룡(恐龍)’으로 옮겼고, 우리는 이 일본스런 한자말을 소리만 ‘공룡’으로 받아들여서 씁니다. 한자를 새기면 ‘무섭다 + 미르’입니다. ‘무섬미르’란 소리인데, 이름에 구태여 ‘무섬-(恐-)’을 붙여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덩치가 크니 ‘큰-’이나 ‘우람-’을 붙이면 되고, ‘큰미르’나 ‘우람미르’쯤으로 풀어서 바라볼 노릇이에요. 키가 크니 키다리일 뿐입니다. 힘이 세니 힘꾼입니다. 잠을 즐기니 잠보요, 먹기를 좋아해 먹깨비입니다. 큰미르는 사납게 몰아치면서 으르렁댔을까요? 덩치만 쳐다보고서 지레 바들바들 떨던 몇몇이 엉뚱하게 붙인 ‘무섬-(恐-)’이란 이름이지 않을까요? 《공룡은 어디로 갔을까?》를 읽으며 생각해 봅니다. 땅을 파서 큰미르 뼈다귀를 캐낼 수 있을 테지만, 사람들이 때려짓는 서울(도시)이 보기싫고, 사람들이 해대는 쌈박질을 더 안 보려고 푸른별 복판으로 숨지 않았을까요? 사람도 몸을 내려놓으면 땅에 묻히고, 큰미르도 몸을 내려놓으면 땅에 묻혀 뼈만 남습니다. 큰미르를 비롯한 숱한 목숨붙이는 ‘오늘날 쌈박질 사람들 꼴을 봐줄 수 없어’서 호젓하면서 아늑하고 사이좋은 새누리로 모두 떠났으리라 느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