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2.5.
《봄을 기다리는 날들》
안재구·안소영 글, 창비, 2021.5.14.
해가 지면 겨울다운 찬바람이지만, 해가 뜨면 포근하구나 싶은 하루이다. 늦가을에 새로 줄기를 올리고 흰꽃을 피운 까마중이 까맣게 열매를 맺는다. 땅바닥에 붙듯 납작하게 퍼지면서 맺은 열매를 훑어 작은아이하고 나눈다. 톡 터지는 맛은 시원하면서 맑다. 큰아이하고 읍내로 저잣마실을 간다. 커피콩을 장만하고서 붕어빵을 한 꾸러미 산다. 우리나라는 붕어빵도 주전부리도 크기가 줄면서 값이 오른다. 왜 두 가지를 다 할까? 곰곰이 보면 종이책조차 빈자리가 늘고 글이 줄면서 값이 오른다. 줄거리도 알맹이도 허술한 책이 쏟아진다. 사람들이 글을 덜 읽기에 줄틈을 넓힌다지만, 읽는 사람은 늘 읽는데 책을 이 따위로 망가뜨려도 될까? 글씨를 키우거나 줄틈을 늘리지 말고, 알차고 야무지게 내놓아야 책을 곁에 둘 사람이 늘 텐데. 《봄을 기다리는 날들》을 읽고서 몹시 아쉬웠다. 아니, 민낯을 보았다. 오른날개(우파)에 있다는 이들은 ‘마땅하다는 듯이’ 아이들을 ‘높은길(고학력)’으로 민다면, 왼날개(좌파)에 있다는 이들은 ‘뒤에서 슬슬’ 아이들을 높은길로 미는구나. 두 날개를 퍼덕여야 하늘을 날되, 머리하고 몸하고 다리가 있어야 이 땅에 선다. ‘두 날개’는 머리·몸·다리를 등지거나 잊은 채 밥그릇 지키기로구나.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