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와 대마초 - 신의 선물인가 악마의 풀인가
노의현 지음 / 소동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숲책/숲노래 책읽기 2022.11.28.

숲책 읽기 178


《대마와 대마초》

 노의현

 소동

 2021.1.1.



  《대마와 대마초》(노의현, 소동, 2021)를 곰곰이 읽었습니다. 이 책을 읽고서 둘레에 이런 책을 좀 읽어 보십사 하고 여쭈는데, 막상 이 책을 기꺼이 장만해서 차근차근 읽고 새기면서 ‘나라·마을·사람’이라는 얼거리를 ‘삶·살림·숲’이라는 눈썰미로 가다듬은 분이 얼마나 될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밥은 배불리 먹어도 안 나쁘되, 많이 먹어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우리말에는 ‘아침저녁’이 있을 뿐, ‘아침낮저녁’처럼 쓰지는 않습니다. 하루에 틀림없이 아침에 낮에 저녁이 있고, 밤하고 새벽이 있습니다만, ‘아침저녁’을 따로 가르는 까닭을 읽을 노릇이에요. ‘아침밥 = 아침’이요, ‘저녁밥 = 저녁’이거든요.


  예부터 우리 겨레는 두끼살림이었다는 뜻이 말마디에 깃든 셈입니다. 아침저녁 사이에는 ‘새참·샛밥’이 있고, 따로 ‘곁두리’라고도 합니다. 때로는 새참을 누리지만, 굳이 안 누려도 됩니다. 그리고 끼니를 아랑곳하지 않는 ‘잔치’가 있으며, 이 잔치는 ‘도르리·도리기’로 가릅니다.


  우리말로는 ‘삼’이고, 한자말로는 ‘대마’입니다. ‘삼실’은 삼이라는 풀한테서 얻어요. ‘삼다(실을 삼다·신을 삼다)’라는 낱말은 바로 ‘삼’이라는 풀이름에서 비롯했습니다. 우리나라나 일본은 삼이랑 모시로 오래도록 옷살림을 이었어요. 여기에 솜을 맞아들였고, 결이 훨씬 고운 누에실(비단)을 따로 냈지요.


  숲책 《대마와 대마초》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온누리 여러 곳에서 ‘삼’이라는 풀을 얼마나 알뜰살뜰 옷밥집 살림으로 다루었는가 하는 실마리를 짚고, 풀살림 하나로 누구나 넉넉할 만했으나, ‘고리(커넥션)’를 이룬 무리(정부·기업·군대·언론)가 왜 어떻게 얼마나 언제부터 ‘삼’을 몹쓸풀로 여기도록 내몰면서 틀(법)까지 세웠느냐를 짚습니다.


  삼(대마)은 아무 잘못도 말썽도 없습니다. 삼으로 돈벌이를 꾀하거나 다른 돈벌이를 일으키려고 한 무리(정부·기업·군대·언론)가 몹쓸놈일 뿐입니다. 삼씨앗을 ‘살림풀(약초)’로 알맞게 건사하는 길을 간다면 걱정거리가 없습니다. 나라가 할 몫이라면, 글바치가 밝힐 길이라면, 사람들 눈귀입을 틀어막는 짓이 아닌, 또 엉터리 이야기로 길들이는 짓도 아닌, 풀살림을 언제 어디에서나 누구나 어질게 다루도록 북돋우는 살림빛일 노릇이라고 봅니다.


ㅅㄴㄹ


대마초(마리화나)가 마약 취급을 받기 전 대마로 베옷이나 밧줄, 기타 생활에 필요한 물건을 만들어 쓰던 당시에는 삼이나 삼베가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던 단어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삼보다는 대마라는 이름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들은 삼이나 삼베라는 단어가 무슨 뜻인지 잘 모르고 있는 형편이다. (21쪽)


면화 재배는 토양과 환경에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 농산물 중 농약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작물이고, 물 사용 요구 또한 큰 작물이다. 면직물을 마 섬유로 대체한다면 면화 재배 면적을 줄일 수 있고 환경 개선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87쪽)


대마 속대를 이용해 바이오플라스틱 제품을 만들면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 (88쪽)


15세기에 활판인쇄로 찍은 구텐베르크 《성경》의 종이 원료는 대마였다. 미국 독립선언서의 초안과 최초의 미국헌법 또한 대마 종이에 쓰였다. (174쪽)


미국 정부가 대마 불법화 정책을 실시하게 된 배후에는 합성섬유, 페인트, 합성고무, 플라스틱 등 석유화학 제품을 막 생산하기 시작한 듀퐁사, 신문재벌이며 삼림재벌인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 그리고 이들 회사에 많은 자금을 투자한 당시 재력가이며 재무부장관이던 앤드류 멜론이 있었다는 주장이 있다. (196쪽)


미국 농무부는 대마 1에이커의 종이 생산량과 삼림 4에이커의 종이 생산량이 맞먹는다고 발표한 바 있다. (198쪽)


다급해진 미국은 1942년에 〈승리를 위한 대마〉라는 제목의 흑백 홍보영화를 만든다. 대마 제배법과 대마의 다양한 사용법을 알리며 대마를 재배하는 농민들에게 많은 혜택을 주겠다고 독려하는 내용이었다. 전쟁 기간 동안 대마를 재배하는 농민이나 그의 자녀들에게는 징집이 면제되었다. (20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