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읽기 2022.11.26.
읽었습니다 189
풀꽃나무나 씨앗을 들려주는 글을 써서 책으로 여미는 이웃이 조금씩 늘어나는 듯합니다. 여러모로 반갑습니다. 《일상의 씨앗들》은 서울(도시)을 떠나고서 풀꽃나무하고 씨앗을 온몸으로 마주하는 하루를 담으려고 합니다. 한 해가 흐르는 결을 상냥하게 마주하면서 차근차근 받아들이려는구나 하고 느끼지만, ‘그동안 익숙한 틀’을 걷어내지는 않는 대목이 자꾸 나옵니다. “재래종 목화(120쪽)”가, “목화의 여정이 시작되었다”가, “다양한 품종의 작물들을”이 뭔지 모르겠습니다. “오랜 솜”이고, “솜살이를 연다”이고, “여러 씨앗”이나 “여러 남새”입니다. 우리말 ‘솜’은 ‘속(안쪽)’하고 말밑이 같아요. ‘씨앗’은 ‘심·심다’하고 말밑을 잇습니다. ‘나물·남새’는 ‘나·너·나무’하고 얽힙니다. 흙을 배우려면, 흙에서 깨어나고 숲에서 태어난 오랜 우리말, 그러니까 수수하고 쉬운 우리말을 늘 쓸 노릇입니다. 흙말도 숲말도 등진다면 삶말도 살림말도 등지고 맙니다.
《일상의 씨앗들》(강나무, 크레아티스트매니지먼트, 2020.12.13.)
재래종 목화에서 얻은 씨앗을 심었는데 나비를 닮은 새싹이 돋았다. 목화의 여정이 시작되었다 … 다양한 품종의 작물들을 조금씩 골고루 심은 텃밭을 일구다 보면 날마다 다른 일을 할 수 있다. (120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