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용서점〉에서 숲노래 수다꽃

2022년 11월 21일


19시∼22시

수다감 : 책묶기, 책을 어떻게 묶어서 나르는가?


‘책읽기’에 앞서 

‘책묶기’나 ‘책쥠새’를 듣거나 배운 적이 있습니까?

책쥠새나 책묶기를 모르면서

책읽기만 한다면

먹물바치에 갇히기 쉽습니다.


1992년부터 온나라 헌책집지기한테서 배운

‘책사랑’ 이야기 가운데 한 꼭지로

‘책묶기’를 어떻게 하는지

차근차근 보여주고 배우는 자리를 꾸립니다.


책은 손으로 읽습니다.

책은 손으로 다룹니다.

우리는 손빛을 밝히는 손님으로 만나고

서로 손길을 나누며 동무로 사귑니다.



우리는 ‘책쥠새’를 말하거나 듣거나 배울 틈바구니가 아예 없이 2010년을 지나고 2020년도 지났습니다. 우리는 오늘에서야 겨우 ‘책읽기’조차 아닌 ‘책쥠새’를 말하고 듣고 배울 노릇입니다.


ㄱ. 아기 손을 쥐듯 책을 쥡니다

ㄴ. 꽃송이를 쥐듯 책을 쥡니다

ㄷ. 눈송이를 쥐듯 책을 쥡니다

ㄹ. 바람을 쥐듯 책을 쥡니다

ㅁ. 빗물을 쥐듯 책을 쥡니다

ㅂ. 별빛을 쥐듯 책을 쥡니다

ㅅ. 서로 사랑이 오가는 눈빛으로 책을 쥡니다

ㅇ. 스스로 배우려는 마음으로 책을 쥡니다


모름지기 책집이나 책숲에 책을 보러 갔다면, 책을 쥘 적에 한 손에 손수건을 대고서 얹습니다. 손수건을 댄 손으로는 책이 쩍 벌어지지 않도록 누름줄이 잡힌 끝자락을 쥐되, 위아래로 보면 가운데짬을 쥡니다. 다른 손으로는 손가락 둘을 써서 종이 끝을 가볍게 스치듯 톡 대면 종이쪽이 벌어지니, 이때에 부드러이 위에서 아래로 긋듯 내리면 아뭇소리 없이 쪽을 넘길 수 있습니다. 여덟 가지 쥠새를 헤아리는 책동무가 늘어나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