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9.10.


《피어라 돼지》

 김혜순 글, 문학과지성사, 2016.3.3.



면사무소로 되살림(재활용)쓰레기를 갖다놓으러 자전거를 달린다. 어젯밤은 조용하기에 그저 조용히 지나가는가 싶더니 오늘밤은 끝내 불꽃(폭죽)을 터뜨리는구나. 참말로 서울내기는 서울에서는 불꽃을 못 터뜨리니 조용한 시골을 더럽히네. 서울에서 못 보는 별빛을 누리면 안 되겠니? 시골에 와서 별을 안 보면 어디에서 볼 셈이니? 서울내기 마음에는 별빛도 새노래도 풀노래도 죄다 없니? 구름밭이 달빛을 가려 준다. 고맙다. 우리는 별빛을 받는 사람이다. 달이 아닌 별을 보기에 사람스럽게 숨결을 지핀다. 《피어라 돼지》를 읽었다. 이렇게 노래하는 사람도 있구나. 김혜순 님도 오늘날 숱한 노래님(시인)처럼 말을 못 살리는 결이 많고, 꾸밈결도 짙지만, 그래도 이럭저럭 읽을 만하다. 스스로 생채기를 후벼팔 수도 있을 터이나, 조금 더 스스로 따사로이 바라볼 수 있다면 글이 사뭇 다르리라. 남이 나를 사랑해 주기를 바랄 까닭이 없다. 내가 나를 스스로 달래고 아낄 줄 알면 사랑은 스스로 피어난다. 바깥(사회)은 조금 덜 쳐다볼 수 있다면, 바깥(정치·학교·문화·예술)에 아예 눈을 뗄 수 있다면, 우리 입에서 흘러나오는 모든 말은 시나브로 노래로 피어나서 별빛으로 거듭나리라. 노래는 늘 우리 마음속에서 숨죽이며 기다린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