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9.13.

숨은책 742


《학교는 왜 가난한가》

 한국교육연구소 엮음

 우리교육

 1991.6.20.



  예전 배움터는 왜 그리 가난했을까요? 배움터에 가면 뭔가 배우는 하루가 아닌, 툭하면 무슨 돈을 내라 어떤 성금을 바치라 무슨 폐품을 모아라 어떤 꽃그릇을 마련해서 내라 …… 끝이 없더군요. 어느 날 어머니는 “얘, 무슨 학교가 이렇게 돈하고 살림을 맨날 가져오라고 하니? 너무 힘들어서 학교 못 보내겠다.” 하며 한숨을 쉽니다. “어머니, 그러면 전 학교를 안 다녀도 좋아요. 저도 너무 힘들어요.” 하고 대꾸했어요. 이제 이 나라 배움터는 돈이 넘칩니다. 돈은 넘치되 아이들이 줄고 머잖아 아이들은 다 사라지고 어른(교사)만 남을 판입니다. 오늘날 시골 배움터는 아이는 몇 없으나 어른(교사)이 외려 아이보다 많기 일쑤입니다. 《학교는 왜 가난한가》는 1991년에 마땅히 나올 만했습니다. 2020해무렵(년대)을 넘어서는 한복판에는 “학교는 왜 돈이 많은가”로 이름을 바꾸어야지 싶습니다. 배움길이라기보다 배움수렁(입시지옥)인 얼거리를 본다면, 배움터에 목돈을 쏟아붓기보다는 어린이·푸름이가 스스로 삶·살림·사랑·숲을 배우고 다스리도록 배움돈(교육예산)을 쓸 노릇이라고 여깁니다. 배움터를 세우거나 배움칸(교실)을 으리으리 꾸미지 말고, 오롯이 어린이·푸름이한테 이바지할 길을 찾아야 어른이 어른답겠지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