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7.23. 다음 책수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칠월 첫머리에 서울마실에서 고흥으로 돌아오고서 보름 즈음 느긋이 쉬며 여름빛에서 가을빛으로 접어드는 바람결을 헤아렸습니다. 이러고서 7월 18일 부천 〈용서점〉으로 책수다를 다녀왔고, 마실길을 나선 김에 연천 〈오늘과 내일〉하고 〈굼벵책방〉이랑, 안양 〈뜻밖의 여행〉을 들렀어요. 7월 20일에 고흥으로 돌아왔으나 아직 몸에 기운을 북돋우는데, 곧 새로 책수다 마실길에 나섭니다.



※ 2022.7.26.불날(화요일) 19시

― 인천 배다리, 〈아벨서점, 시다락방〉 


※ 2022.7.27.물날(수요일) 17시

― 인천 주안, 〈딴뚬꽌뚬〉 


※ 2022.8.22.달날(월요일) 19시

― 부천 원미동, 〈용서점〉 


※ 2022.8.23.불날(화요일) 19시

― 인천 배다리, 〈모갈1호〉 



  쉰 사람이나, 이백 사람이나, 즈믄 사람이 모이는 이야기꽃(강의)도 나쁘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말과 책과 살림과 숲과 어린이를 둘러싼 이야기꽃은 ‘3∼5사람’이 모이는 자리에서 한결 깊이 생각을 나눌 만하다고 여깁니다.


  왜 우리 마을책집이나 우리 고장에는 책수다를 오지 않느냐고 서운하신 이웃님이라면, 이웃님이 계신 고장에 있는 마을책집이나 책숲(도서관)에서 이야기꽃을 펼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해 주시면 기꺼이 날아갑니다.


  모든 이야기꽃은, 듣는 사람도 새롭게 배울 테지만, 이야기를 들려주는 사람인 숲노래 씨부터 스스로 새롭게 배운다고 여깁니다. 저는 “남을 가르치려는 이야기꽃(강의)은 안 갑”니다. 저는 늘 “숲노래 스스로 배우면서 웃음꽃을 피워, 이 꽃씨를 받아서 우리 시골집 곁님하고 아이들한테 들려줄 생각잔치를 이루려고 책수다 마실길에 나섭”니다. 고맙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