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7.13.

숨은책 723


《백설공주의 계모는 어떻게 되었나》

 라이너 쿤체 글

 차경아 옮김

 두레

 1978.9.1.



  요즈음 책집에는 책이 참 많습니다. 새로 나오는 책도 예전에 나온 책도 많아요. 이 가운데 어린이책이 남달리 많아요. 갈수록 어린이책은 더 늘어날 테고, 푸른책도 꽤 나올 테지요. 그런데 웬만한 어린이책·푸른책은 ‘삶을 새롭게 읽어 스스로 생각을 북돋우는 살림길로 이끄는 징검다리’이기보다는 ‘배움틀(학습과정)에 맞춘 곁배움책(참고서·학습보조도구)’ 같습니다. 어린이 스스로 앞날을 새롭게 가꾸는 슬기로울 이야기를 담는 어린이책보다는 ‘어른들이 짜맞춘 수렁에 갇혀 고단하거나 서로 싸우는 줄거리’에 그치는 책이 지나치게 많아요. 《백설공주의 계모는 어떻게 되었나》는 1978년에 우리말로 처음 나옵니다만 일찍 사라졌습니다. 아직 어린이책이 제대로 읽히기 어려운 무렵에 나오기도 했고, 요새는 책이 넘치는 바람에 다시 읽히기 힘들 수 있습니다. 저는 어릴 적에 책은 거의 못 읽거나 안 읽으며 뛰놀고 짐(숙제)에 짓눌려 살았는데, 이즈막 어린이는 뛰놀 틈도 빈터도 없이 쳇바퀴에 갇히고 부릉이(자동차)에 얽매입니다. 어른도 아이도 발을 땅에 디디지 않는 오늘날은 책이 무슨 구실을 할까요? 하얀눈이(백설공주) 뒷이야기를 넌지시 그리면서 ‘바보스런 어른 굴레(사회)’를 나무란 책을 가만히 쓰다듬습니다.


ㅅㄴㄹ


#ReinerKunze

#DerLoeweLeopold #FastMaerchen #fastGeschichten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