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6.29.
숨은책 717
《實用 麥作增收圖解》
竹上靜夫 글
養賢堂
1956.3.25.첫/1958.5.15.2벌
한때 우리나라 어디에나 ‘농고(농업고등학교)’에 ‘수산고’가 있었으나, 이제 이러한 배움터는 가뭇없이 사라졌습니다. 흙살림을 배우는 곳은 손가락으로 꼽을 만큼 겨우 남고 죄다 배움수렁(입시지옥)으로 치닫는 얼거리로 바뀝니다. 시골에 ‘시골배움터’가 없다면 시골에서 나고자라는 어린이·푸름이는 제 삶터인 시골을 사랑하는 길을 배울 틈이 없겠지요. 시골은 어린배움터부터 시골일을 나누고 숲살림을 돌아보는 얼거리로 거듭나야 하지 않을까요? 오늘날 서울에만 열린배움터(대학교)가 잔뜩 쏠렸는데, 모든 고장(시·군)에 한둘만 있을 노릇이라고 봅니다. 전남 고흥군에도 경북 영양군에도 열린배움터가 있되 시골스럽게 시골일하고 숲살림을 배우고 헤아리는 자리로 가꿔야겠지요. 《實用 麥作增收圖解》는 일본에서 나왔으되 1960년(四二九三.一一.一五.) 어느 날 어느 분이 장만해서 읽었습니다. 보리짓기를 다룬 배움책이니, 보리밭을 일구는 분이 읽었을 테지요. 이 나라에서는 딱히 배울 곳이 없을 만한 지난날이니 일본책으로 배우려 했구나 싶습니다. 그러면 이제는 우리 나름대로 ‘우리 보리짓기’를 다루는 책을 우리 손으로 쓰는지 궁금해요. 일본 한자말 아닌 우리말로 흙살림말(농업용어)을 풀어내었으려나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