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6.18.

숨은책 670


《廣辭林 新訂版》

 金澤壓三郞 엮음

 三省堂

 1921.9.25.첫/1938.9.18.490벌



  2002년 무렵 서울 어느 헌책집에서 책사랑 어르신이 문득 말을 겁니다. “자네 하는 일이 뭔가?” “낱말책을 씁니다.” “어떤 낱말책인가?” “국어사전입니다.” “그러면 일본 사전을 봐야 해. 우리 사전 모든 뿌리가 일본한테서 왔어. 이 《광사림》부터 읽어 보시게.” “우리 낱말책을 엮는 일을 하는데 왜 일본 낱말책을 봐야 해요?” “허허, 보면 알아.” 그때에는 귓등으로 흘렸어요. 왜 일본 낱말책을 구태여 살펴야 하나 싶더군요. 그즈음은 《廣辭林》이 헌책집마다 흔했고, 오랜판이건 새판이건 값싸게 살 수 있어요. 어느덧 스무 해쯤 흐르고서 예전에 안 산 《廣辭林》을 장만하려 하니 헌책집지기마다 “광사림? 안 팔려서 다 버렸지.” 하는 말을 듣습니다. 우리말꽃 지음이(국어사전 편찬자)라는 길을 한참 걷고서야 예전 어르신이 들려준 말이 무슨 뜻인가를 알았으나 책 하나 찾기가 팍팍합니다. 드디어 1938년에 자그마치 490벌째를 찍은 판을 목돈 들여 장만했고, 뒤쪽에 “一九五九.一二.三○. 於鍾路古書肆. 八○○圓”이란 글씨가 있습니다. 이 낱말책을 1959년에 사신 분이 들렀을 ‘서울 종로 헌책집’은 어디일까요. 따로 이름이 없던 곳일까요. 우리말꽃이 날개돋히듯 읽히도록 알차게 차곡차곡 여미자고 돌아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