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5.25.


《국어 어원사전》

 김무림 글, 지식과교양, 2020.1.10.



인천 수봉산 기스락에서 새벽을 맞이하는데 개구리 노랫소리를 듣는다. 큰고장 한복판이어도 멧자락을 낀 마을은 아직 개구리가 곁에 있구나. 숭의4동 골목을 걷는다. 머잖아 이 마을은 길그림에서 아주 사라진다. 멀쩡한 집·마당·나무는 늦봄볕을 조용히 받는다. 부천 〈용서점〉을 찾아간다. 가볍게 이야기하고 고흥으로 돌아가려 했는데 그만 일곱 시간이나 책수다를 했다. 다시 서울 명동으로 간다. 앞으로도 명동이 서울에서 값싸고 깨끗한 길손집이려나. 저녁에 을지로 쪽을 걷다가 길거리 술집에 넘치는 사람을 보고 놀랐다. 《국어 어원사전》을 몇 달에 걸쳐 곰곰이 읽고 생각해 보았다. “국어 어원”이란 이름을 붙인 탓인지, ‘가꾸목·가께소바·가께우동·가나·가라·가라오케·가마니·가방·가보·각광·고도리·곤색·고조·구락부·국판·궐련’이나 ‘간증·가사·가얏고·각본·각색·간도·간부·간석지·간자장면·간조·강원도·거동·거량·거사·건달바·겁·결코·경기도·경마·경상도·계·고구려·고답·과년·광복·구라파·구랍·금실·금자탑·기별·기쓰면·기어코·기우·깐풍기·나사·나왕·나침반’이나 ‘가스펠·가톨릭·고고·고딕·고무·굿바이·그리스도·기독·껌·나일론·나치’처럼 “우리말 아닌 바깥말”을 꽤나 많이 다뤘다. ‘우리말’을 다룬 꼭지만 뽑는다면 책이 홀쭉하리라. 그런데 ‘구두·곤두·간직·귀찮다·그냥·꾼·나중·조용·철·대수롭다·모습·무늬·모시·봉우리·붓·설·광주리·괴롭다’ 같은 우리말을 뜬금없이 한자로 끼워맞춰 “한자 말밑인 낱말”인 듯 적어 놓았다. 한숨이 절로 나올 만한 책인데, 이런 책을 쓰는 사람이 열린배움터에서 젊은이를 가르칠 뿐 아니라, 이렇게 뜬금없는 목소리를 잔뜩 풀어놓고서 ‘사전’이란 이름으로 나온다. 창피한 우리나라 민낯이다. 우리말을 우리말로 읽지 못할 뿐 아니라, 일본말이나 중국말이나 영어를 잔뜩 집어넣은 《국어 어원사전》은 얼마나 부끄러운가? 곰곰이 생각해 보면, 글쓴이 스스로 ‘국어’라는 수렁에 갇혀서 허우적거린다. 우리말은 ‘국어’가 아니다. ‘국어 = 일본 우두머리가 사람들을 총칼로 억누를 적에 퍼뜨리려던 일본말’이다. 제발, 붓쟁이들아, 넋을 차리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