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6.9.
숨은책 651
《히말라야 성자들의 超人生活 下》
스폴딩 글
강흥수 옮김
선경도서출판사
1985.3.2.
어릴 적에 그렇게 자주 앓고 쉽게 드러누웠습니다. 우리 언니는 저더러 꾀앓이를 한다고 나무랐지만, ‘겉으로 멀쩡해 보여도 속으로는 다르게’ 마련인데, 튼튼몸인 사람은 도무지 못 알아봅니다. 겉으로 멀쩡하다고 해서 억지로 버티다가 쓰러진 적이 제법 있습니다. 싸움판(군대)에서도 끝끝내 버티다가 꼭 하루 쓰러진 적이 있어요. 쓰러지며 바로 넋이 나가기도 하지만, 넋은 있는 채 거품만 물기도 하지요. 고삭부리인 몸으로 앓아눕거나 쓰러질 적에 “난 왜 이렇게 여린 몸이지?” 하고 마음에 대고 물으면 문득 “그럼 넌 뭘 바라니?” 하는 소리가 들려요. “나한테 초능력이 있어서, 안 아픈 몸에 쏟아지는 돈이 있으면 좋겠어.” 하고 대꾸하면 “그래? 그러면 안 아프고서 돈이 많은 다음엔?” 하고 되묻더군요. “어, 어, 안 아프고 돈이 많으면, 그다음엔, 뭘 하지?” “훗, 네가 스스로 찾아보렴.” 《히말라야 성자들의 超人生活 下》 같은 책을 찾아서 읽을 줄은 몰랐으나, ‘초인·초능력자’를 배울 뜻이 아닌, 왜 이 별에 이 몸으로 태어나 이렇게 살아가는가를 스스로 배우고 싶습니다. 이 책은 2004·2020년에 다시 나오는데, ‘엄청난 솜씨’를 배우라는 줄거리가 아닌, 우리가 스스로 잊은 마음을 새롭게 찾으라고 속삭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