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4.4.


《시인 할머니의 거짓 않는 자연》

 황보출 글·그림, 푸른어머니학교, 2020.9.



셋이서 바깥마루에 앉아서 〈책숲 12〉을 글자루에 담는다. 두 사람 손길을 받아서 일하니 무척 수월하게 마친다. 책숲 이웃님한테 노래꽃(동시)을 미처 다 드리지 못했는데, 오늘 한 분 한 분 챙겨서 띄우려고 한다. 꾸러미가 묵직하다. 등짐을 짊어지고 자전거로 씽 면소재지 우체국으로 간다. 마을들은 노란물결이다. 땀을 한 줄기 빼고서 집으로 돌아온 뒤, 오늘도 모과꽃을 훑는다. 땀내음은 꽃내음으로 씻어야지. 봄볕을 쬐며 모과나무 곁에 서면 꽃그늘을 받으면서 즐겁다. 《시인 할머니의 거짓 않는 자연》을 읽었다. 아이들도 재미나게 읽어 주었다. 두껍지도 얇지도 않게, 크지도 작지도 않게, 단출하면서 곱게 나왔다. 다만 “시인 할머니”보다는 “노래 할머니”라 하면 어울리리라 본다. 할머니는 ‘시라는 문학’이 아니라 ‘노래라는 사랑’을 들려주려 하니까. 이렇게 “노래 할머니”가 곳곳에서 새롭게 빛난다. “노래 할아버지”도 틀림없이 있을 텐데, 어디 계시려나? 삶이며 숲이며 사랑으로 돌보며 수수하게 살아온 할아버지도 투박하게 글빛을 가꾸어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기를 빈다. 오늘 우리가 지으면서 물려줄 살림빛이란 바로 노래이다. 시끌벅적 보임틀(텔레비전)에 흐르는 꾸밈짓이 아닌, 삶노래 말이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