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 인격이다 - 품격을 높이는 우리말 예절
조항범 지음 / 예담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숲노래 책읽기 2022.4.8.

읽었습니다 123



저는 ‘인격’이란 한자말을 안 씁니다. 한자말이라 안 쓰지 않습니다. 아이들이 못 알아듣기에 아예 안 씁니다. “‘인격’이란 어쩌구저쩌구란다.” 하고 아이들을 가르치는 길도 있습니다만, 이보다는 “우리는 마음을 살피고 마음결을 다스리고 마음새를 돌보기에 마음밭에 생각이란 씨앗을 심고 마음보를 넉넉히 갈무리하고는 마음빛을 환하게 편단다.” 하고 속삭입니다. 《말이 인격이다》를 읽어 보았습니다. 글님은 ‘품격을 높이는 우리말 예절’이라고 작은이름까지 붙여서 내세웁니다만, ‘요새 젊은이는 한자말을 알맞게 안 써서 인격이 얕다’고 나무라는 줄거리에 갇힙니다. 한자말을 써야 ‘인격·예절’이라고 여기는 마음은 꼰대입니다. ‘밥’을 높이는 말은 ‘일본스런 한자말 식사’가 아니라 ‘수수한 높임말 진지’입니다. 중국을 섬기며 끌어들인 한자말로 ‘인격’ 타령을 하는 꼰대 둘레에는 미국을 우러르며 받아들인 영어로 ‘문화·예술’ 타령을 하는 꼬마가 있습니다.


《말이 인격이다》(조항범 글, 예담, 2009.1.9.첫/2010.11.15.11벌)



ㅅㄴㄹ


꼰대질로는 말을 못 물려준다.

꼬마질로도 말을 못 물려받는다.

꼰대도 꼬마도 아닌

꽃으로 서로 마주하기에

비로소 “말은 마음이다” 하고

새롭게 말길을 펴고 찾고 나눌 테지.

꼰대 교수가 쓰는 글도

꼬마 아티스트가 쓰는 글도

모두 꼬부라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