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2.23.


《체공녀 강주룡》

 박서련 글, 한겨레출판, 2018.7.18.



‘23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이란 《체공녀 강주룡》을 읽으며 갑갑했다. ‘강주룡 이야기’가 아닌 ‘소설’을 쓰느라 이래저래 꿰맞춘 줄거리이니, 숱한 ‘아침 연속극’을  보는 듯했다. 책끝에는 ‘추천글’이 ‘주례사비평’처럼 여러 쪽에 걸쳐 붙는다. ‘문학상 수상작’이란 ‘장사판’이로구나 싶다. 돋보일 만한 글감을 잡아채어 아무튼 쓰기만 하면 된다고 여기고, 막상 글감으로 삼은 ‘강주룡’이 살아온 나날은 어디에도 없다. 수수하게 살다가 조용히 스러진 순이 한 사람 자취를 찾아내기는 어려울 만하다. 아무래도 ‘소설’이 아니고는 삶자취를 그리기 힘들 수 있다. 그러나 그럴수록 더더욱 ‘소설 아닌 삶글’로 바라보고 다가설 노릇 아닐까? 현진건·김유정·현덕·이원수 같은 분이 남긴 글꽃(문학)을 보면, 지난 어느 날 삶자취를 고스란히 느낄 만하다. 이분들은 ‘글감으로 삼은 이웃’하고 동떨어진 곳에서 글만 쓰지 않았다. 스스로 삶을 일구고 지핀 손때랑 땀방울을 고스란히 글로 얹었다. ‘강주룡 차림새’로 겨울을 나고, 손수 아궁이에 불을 때며 밥을 하고, 치마폭에 무거운 쇠붙이를 품고서 걸어 보았다면, 이런 글을 안 쓴다. 글은 머리가 아닌 온몸·온마음·온삶으로 눈물에 노래로 옮길 적에 비로소 싹튼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