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3.


《대마와 대마초》

 노의현, 소동, 2021.1.1.



조금씩 하면 될 일을 한꺼번에 하면서 잘 안 된다면서 툴툴거리는 큰아이를 본 곁님이 여러모로 타이른다. 한꺼번에 하기가 나쁠 일은 없다. 한꺼번에 하면서 툴툴거리려면 구태여 할 까닭이 없을 뿐이다. 한꺼번이든 조금이든 ‘하기’라는 대목에서 같다. 우리는 늘 ‘하는’ 줄 알고 느끼면 넉넉하다. 하다가 쉬든, 몰아서 하든, 즐거이 노래하면서 하기에 스스로 빛난다. 툴툴순이 곁에 앉아서 슬슬 토닥이면서 조금만 치우자고 하다가 어느새 바닥을 쓸고닦고 이불을 널어서 털고 말리고 집안을 크게 뒤집는다. 뭐, 가볍게 놀이를 하듯 벌이다가 다같이 우르르 춤추듯 새해맞이 치우기를 하는 셈이다. 《대마와 대마초》를 아껴 가면서 읽다가 ‘모시’ 이야기를 읽고 고개를 끄덕인다. 모시도 삼하고 비슷한 갈래였구나. 우리 겨레는 예부터 모시이든 삼이든 줄기로 옷을 삼고, 잎으로 밥을 삼았다. 어라, 그러고 보니 ‘삼(삼풀·삼꽃)’이라는 풀이름에서 ‘삼·다’라는 말이 태어났을까? ‘삼’이란 낱말은 마땅히 ‘사-’ 갈래 낱말이다. ‘살다·사랑·사람’하고 맞물린다. 삼이라는 풀을 한자로 옮겨 ‘대마’인데, 모시이든 삼이든 손수 가꾸어 지은 살림을 나쁘다고 가로막은 나라(정부)한테 틀림없이 꿍셈이 있을밖에 없다고 느낀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