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만화 장진영 만화모음 1
장진영 지음 / 정음서원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2022.1.4.

만화책시렁 391


《민중만화》

 장진영

 정음서원

 2020.10.12.



  푸른배움터를 다니던 1988년에 처음으로 ‘민족문학’이란 이름을 듣고, 1990년에 이르러 ‘민중문학’이란 이름을 듣습니다. 곧이어 ‘노동문학’이란 이름을 듣는데, 갈수록 ‘민족·민중·노동’하고 ‘문학’이란 이름이 머나먼 메아리 같더군요. 이 이름이 나쁘다고 여긴 적은 없되, 이 이름을 내세우는 쪽에 선 사람들을 보면 들풀하고 동떨어진 채 목소리만 높구나 싶어요. 때로는 우르르 모여 뒷주머니를 꿰찹니다. 《민중만화》를 보면서 1980∼90해무렵(년대)에 넘쳐나던 그림꽃을 하나둘 떠올립니다. 저는 그림꽃이라면 늘 모두 들여다보았기에 왼켠·오른켠을 가릴 일이 없습니다. 모든 그림꽃을 들여다보노라니 왼켠·오른켠에 선 이들은 그들끼리 무리를 지어 울타리를 쌓을 뿐, 어린이도 시골도 숲도 모르거나 잊은 채 나아가요. 장진영 님은 살며시 시골그림꽃을 그리기도 했습니다만, ‘민중만화’라는 이름을 붙잡고 싶어하면서 스스로 그림꽃빛을 잃는구나 싶어요. 글도 그림도 그림꽃도 ‘민중’일 까닭이 없고 ‘노동’일 쓸모도 없습니다. ‘들풀그림’이면 되고, ‘살림그림’이면 넉넉해요. 목소리를 내기에 바꾸는 물꼬가 된다고도 하지만, 목소리만 있고 집안일을 안 하거나 시골을 품지 않거나 숲하고 등지거나 어린이를 잊는다면, 무슨 ‘민중’이 될까요? 행주와 부엌칼과 호미를 쥐면 됩니다.


ㅅㄴㄹ


“민중의 힘으로 군사독재 타도하자!” (38쪽)


“아가씨. 좋은 말 할 때 저리 가 있어.” “야! 그게 좋은 말이니? 돼먹지 않은 게.” “어. 이년 봐라.” (78쪽)


민족문학 운동계열에서 만화를 거론하는 것을 본 적이 없다. 민중문학, 노동문학 계열도 마찬가지다. 가장 노동문학적인 만화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는 것은 희한한 일이다. 게다가 한국 만화의 역사에서조차 민중만화를 주목하는 글을 보지 못했다. (10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