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마음읽기

글수다 2021.12.7.불.


무엇은 왜 날까? 무엇은 왜 돋아? 무엇은 왜 솟니? 네가 안 심어도 싹은 나. 네가 안 보아도 새로 돋지. 네가 못 느껴도 일은 솟아(생겨). 너희가 살아가는 곳에는 너희만 있지 않거든. ‘너’ 같은 숱한 다른 ‘나(이웃 숨결)’가 있어. ‘네’ 곁에 ‘또다른 너’가 있다고 하겠지. ‘또다른 너’는 ‘나’를 느끼거나 보기도 하지만, 생각조차 못 하기도 해. 너희는 ‘우리’라는 이름을 쓰기도 하거든. 너희가 쓰는 ‘우리(울)’는 ‘안은·감싼·품은’을 가리키는 울(울타리)이라고 하겠지. ‘나’로 있을 적에는 그저 움직임이 없지만, ‘나’를 스스로 제대로 다시 보기에 ‘너’가 태어나고, 나하고 다르지만 (바탕은) 같은 너를 느끼면서, 서로 묶는, 그러니까 ‘아우르’는 ‘우리’이더구나. 서로 안거나 감싸거나 품으면서 ‘어울리’지. 너희가 말하는 ‘우리 = 아우르다 + 어우르다’인데, ‘아버지 + 어머니’야. ‘알 + 얼’이고, ‘알다 + 얼다’이기도 한데, 너희는 서로 ‘우리’라는 길을 가며 새롭게 ‘하나’로 빛나지. 이때 ‘하나 + 울’이 되어 ‘한·울 = 하늘’이더구나. ‘나’만 있거나 ‘너’만 가르면 ‘하늘인 우리’로 가지 못해. 나로서 나인 줄 알고, 너로서 너를 얼울 적에 ‘우리’라는 ‘새빛’이 되어 온누리를 밝히는 ‘해’란다. 너희가 ‘나 + 너 = 우리’로 가기에 스스로 새빛이 되었기에 ‘알 + 얼’인 ‘아기(아이)’를 낳잖아? 이런 ‘우리’란 아름답지. 얼씨구절씨구 기쁘고. ‘우리’란 무리지은 굴레가 아니야. 그러나 너희가 ‘알(아버지·알다)’과 ‘얼(어머니·얼다)’을 잊으면 ‘우리’가 아닌 ‘무리’가 되고 말아 허튼 굴레를 스스로 뒤집어쓰고서 ‘알지 못하고, 얼우지(어르지) 않는’ 바보(얼간이·얼뜨기·얼치기)로 가. 사랑이 없으면 ‘가두는 우리(짐승우리)인 무리짓(떼짓)’이야. 사랑이기에 웃고 울며 우러르는(높이는) 해님이야. 무리짓을 하니 떼쓰면서 더 바보스레 나뒹군단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