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빛 2021.11.27.

오늘말. 소름


우리는 늘, 사랑하는 사람한테 사랑을 펴면 넉넉하고 즐거웁습니다. 아무 곳이나 바라보지 말고, 스스로 사랑하려는 곳이 어디인가 하고 생각을 가누면서 살아야지 싶습니다. 망나니를 봐야 하지 않습니다. 차갑거나 발톱으로 할퀴는 곳에 깃들 까닭이 없습니다. 고린내가 풍기는 이 곁에 왜 있어야 할까요. 미덥지 않은 이가 맡기는 일을 왜 해야 하나요. 무쇠탈을 쓰고서 착한 척하는 이가 곳곳에 있어 소름이 돋습니다만, 섬찟한 마음을 추스르면서 이 알쏭한 터전을 돌아봅니다. 엄니를 드러내는 저 사납이는 왜 막된 짓을 할까요? 돈을 얻고 이름을 날리며 힘을 거머쥐기 때문일까요? 갸우뚱할 일을 일삼는 이는 겉으로는 상냥하지만 속으로는 매섭습니다. 앙칼진 송곳니를 숨기고서 야릇한 짓을 뒤에서도 앞에서도 저지르지요. 그러나 무시무시한 겨울은 걷히기 마련입니다. 수수께끼 아닐까요? 얼어붙은 겨울은 어떻게 녹을까요? 바로 저 개망나니조차 겨울만 길디길면 굶어죽거든요. 피비린내를 풍기는 이들도 겨울이 저물고 봄이 오기를 바랄밖에 없습니다. 생각하고 생각하기를 바라요. 우리는 언제나, 스스로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마음이어야 사람입니다.


ㅅㄴㄹ


거칠다·사납다·망나니·개망나니·너무하다·막되다·막돼먹다·무섭다·무시무시하다·매섭다·맵다·차갑다·차다·쌀쌀맞다·서늘하다·시리다·쑤시다·앙칼지다·소름·섬찟·피비린내·발톱·송곳니·엄니·쇠탈·무쇠탈 → 잔인, 잔학, 잔학무도, 잔혹


갸우뚱하다·갸웃거리다·갸웃질·고개를 갸우뚱하다·고개를 갸웃하다·믿기지 않다·믿을 수 없다·믿을 길 없다·못 믿다·못 믿겠다·못미덥다·미덥지 않다·묻다·물어보다·고리다·구리다·쿠리다·고린내·구린내·아리송하다·알쏭하다·야릇하다·수수께끼·여기다·생각하다·보다 ← 의심(疑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