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낮 12시, 책방 문을 엽니다 - 동네책방 역곡동 용서점 이야기
박용희 지음 / 꿈꾸는인생 / 2020년 5월
평점 :
숲노래 책읽기 2021.9.25.
인문책시렁 209
《낮 12시, 책방 문을 엽니다》
박용희
꿈꾸는인생
2020.5.1.
《낮 12시, 책방 문을 엽니다》(박용희, 꿈꾸는인생, 2020)는 책집지기라는 길을 새롭게 일구면서 마을빛을 돌보는 작은걸음을 들려줍니다. 목돈으로 커다랗게 짓는 교보문고나 영풍문고가 아니라, 마을사람이 읽을 책을 마을에서 살피고 마을이웃이 가벼이 드나드는 터전으로 보듬는 마을책집이란 이야기를 속삭입니다.
큰책집인 교보문고나 영풍문고가 나쁠 일이 없습니다. 책집이 없는 시골이나 섬이나 멧골에서는 누리책집이 고마운 징검다리입니다. 그러나 큰책집하고 누리책집은 모두 똑같아요. 서울에 있거나 부산에 있거나 모두 똑같지요. 광주에 있거나 대구에 있거나 다 똑같아요. 여러 누리책집도 그저 똑같습니다. 똑같은 얼개로 똑같은 책을 똑같이 더 많이 팔아서 똑같이 돈만 더 벌어들이는 얼개입니다.
곰곰이 보면 사람들이 큰책집이나 누리책집을 더 자주 드나들며 책을 장만하기에 이곳이 큰돈을 번다고 할 만합니다. 오늘날 손살림하고 매한가지인걸요. 오늘날 스스로 살림을 짓는 길이 확 줄었어요. 어린배움터(초등학교)나 푸른배움터(중·고등학교)뿐 아니라 열린배움터(대학교)에서 손살림(자립·자급자족)을 안 가르쳐요. 배움터를 더 오래 다녀서 해삯(연봉)을 더 많이 받을 일자리를 얻는 길만 가르칩니다. 이런 물결로 살아가는 사람이 아주 많기에 큰책집하고 누리책집이 큰돈을 법니다.
마을책집은 큰길을 꾀하지 않습니다. 마을책집은 마을길을 생각합니다. 마을책집은 큰돈벌이를 노리지 않습니다. 마을책집은 마을사람 스스로 조촐하게 가꾸어 슬기롭게 사랑하는 마을살림을 헤아립니다. 잔뜩 벌어들이는 돈이라면 잔뜩 쓰기 마련입니다. 즐겁게 버는 살림돈이라면 즐겁게 쓸 테고요.
무엇보다 마을책집은 저마다 다른 손빛으로 저마다 다르게 가꿉니다. 서울에서도 제주에서도, 인천에서도 부천에서도, 목포에서도 진주에서도, 마을책집은 바로 이 고장에서 흐르는 고장빛·고을빛·마을빛을 돌아봅니다. 다 다른 고장마다 다 다르게 지으면서 어우러질 새길을 살핍니다.
부천에 깃든 〈용서점〉이 부천이라는 고장을 바라보면서 일구는 눈빛은 조그마한 《낮 12시, 책방 문을 엽니다》에 조곤조곤 흐릅니다. 대단한 일이 아닌 즐거운 일을 편 발자취를, 놀라운 일이 아닌 노래하는 일을 나눈 발걸음을 적어요. 마을책집에 노래하며 찾아가요. 마을책집에서 책 한 자락을 천천히 장만해서 느긋이 누려요. 이웃이 소리내어 읽는 목소리를 듣고, 우리 목소리로 나긋나긋 이어서 읊어요. 이름난 글님이어야 글을 쓸 만하지 않습니다. 마을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새롭게 글님이 되어 우리 마을 이야기를 신바람으로 쓸 만합니다.
ㅅㄴㄹ
책 보는 사람이 점점 줄고 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책은 누군가에게 가장 매력적인 매체다. (30쪽)
책방을 하며 몸으로 체득한 사실은, ‘독자는 어디에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독자란 〈용서점〉을 통한 독자를 뜻하진 않는다. (31쪽)
아차 싶었다. 아무리 책의 양이 많지 않다고 해도 책 좋아하는 이가 몇 번이나 둘러보고도 보고 싶은 책이 없다는 건 문제가 아닌가. (75쪽)
독자의 서가를 마주하는 일은 그런 의미에서 내 독서의 좁은 지경을 확인하고, 깨뜨리고, 확장하는 경험이 된다. (88쪽)
〈용서점〉 첫 작가와의 만남을 진행하며 그만 주최자인 내가 그 분위기에 취해서, 작가 행사를 정례화하기로 마음먹었다. (117쪽)
책을 쓰는 게 이렇게 삶을 갈아 넣어야 하는 일인 줄 알았다면 시작하지 않았을 것이다. 확실히 세상엔 잘 몰라서 해내게 되는 일들이 있는 듯하다. 모르니깐 무작정 뛰어들 수 있는 것이다. (19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