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1.8.6.

숨은책 435


《東仁全集 第六卷 아기네·王府의 落照》

 김동인 글

 정양사

 1951.12.10.



  푸른배움터를 다닐 무렵, 시키는 대로 배우고 외우면서도 “영 아니지 싶은데? 거짓말 같은데? 그러나 이대로 안 외우면 시험점수를 못 받는데? 이곳을 마칠 때까지 참고 거짓말을 외워야 하나?” 하고 생각했습니다. 푸른배움터를 다니며 ‘국어’하고 ‘문학’이란 이름으로 김동인이며 서정주 같은 사람들 글하고 책을 자주 읽고 외워야 했습니다. 읽으면서도, 또 이들이 쓴 글을 다룬 물음종이(시험지)를 풀면서도 “이런 사람들 글이 아니라,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글이 얼마나 많은데, 왜 우리를 이런 글에 가두나?” 하고 아리송했습니다. 《東仁全集 第六卷 아기네·王府의 落照》는 1951년에 김동인 님이 숨을 거둔 다음 나옵니다. 남북이 갈려 한창 싸우던 무렵 꽤 좋은 종이에 껍데기까지 씌웠지요. 이즈음 남북 모두 종이가 모자라 배움터에서는 배움책조차 제대로 없어요. 《동인전집》은 무슨 뒷배로 반들거리는 판으로 나올 수 있었을까요? 가만 보면 총칼나라(일본 제국주의) 앞잡이 노릇을 한 김동인 이야기는 오래도록 쉬쉬했고, ‘동인문학상’까지 생겼어요. 글을 쓰는 사람일수록 바른길을 가고, 붓으로 이야기를 펴는 사람부터 바른말을 나눌 노릇이나, 우리나라는 글힘이 이름힘·돈힘하고 손잡고 짬짜미였지 싶습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