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일본말] 가마니·가마かます



가마니(일본어 kamasu) : 1. 곡식이나 소금 따위를 담기 위하여 짚을 돗자리 치듯이 쳐서 만든 용기. 요즈음에는 비닐이나 종이 따위로 만든 큰 부대를 이르기도 한다 ≒ 가마 2. 곡식이나 소금 따위를 ‘1’에 담아 그 분량을 세는 단위


 가마니가 열 장은 있어야 되겠다 → 자루가 열은 있어야 되겠다

 쌀을 두 가마니 정도 먹는다 → 쌀을 두 섬쯤 먹는다

 몇 가마니나 수확할 수 있습니까 → 몇 섬이나 거둘 수 있습니까



  일본말 ‘가마니(かます)’를 ‘가마’처럼 줄여서 쓰기도 합니다만, 우리말 ‘섬’으로 고쳐쓰면 됩니다. 때로는 ‘자루’로 고쳐씁니다. 일본이 우리나라를 총칼로 짓밟던 무렵 “일본 자루”가 들어오며 이 일본말 ‘가마니·가마’가 나란히 들어왔고, 우리 살림 ‘섬’이며, 이 낱말이 가뭇없이 함께 짓밟혔습니다. 자리나 흐름을 살펴 ‘가득·잔뜩·한가득·한껏’으로 고쳐쓸 만합니다. ㅅㄴㄹ



가마니로 쌓아 놓고 헐값으로 팔기도 했다

→ 자루로 쌓아 놓고 싸게 팔기도 했다

→ 가득 쌓아 놓고 싸게 팔기도 했다

→ 잔뜩 쌓아 놓고 싸게 팔기도 했다

《시간의 빛》(강운구, 문학동네, 2004) 27쪽


한 말씩 열 말이 모이면 두 가마, ‘한 섬’이 되는 거야

→ 한 말씩 열 말이 모이면 두 자루, ‘한 섬’이 돼

《재고 세고!, 수와 양》(박남일·문동호, 길벗어린이, 2007) 15쪽


겨울이면 새끼를 꼬고 가마니를 치고 멍석을 짠다

→ 겨울이면 새끼를 꼬고 볏섬을 치고 멍석을 짠다

《논, 밥 한 그릇의 시원》(최수연, 마고북스, 2008) 130쪽


두 가마라 해 봐야 겨우

→ 두 자루라 해봐야 겨우

《어머니전》(강제윤, 호미, 2012) 44쪽


예전에 베나 가마니를 짤 때

→ 예전에 베나 섬을 짤 때

《모둠 모둠 산꽃도감》(김병기, 자연과생태, 2013) 214쪽


할아버지가 싸전을 해서, 쌀가마니를 자전거에 싣고 다니셨지

→ 할아버지가 쌀집을 해서, 쌀섬을 달림이에 싣고 다니셨지

《열두 살 삼촌》(황규섭·오승민, 도토리숲, 2017) 90쪽


이제 막 추수한 쌀가마니가 우마차에 실려 꾸역꾸역 밀려 들어오고 있었다

→ 이제 막 거둔 쌀자루가 소수레에 실려 꾸역꾸역 밀려 들어왔다

→ 이제 막 거둔 쌀섬이 마소수레에 실려 꾸역꾸역 밀려 들어왔다

《개화 소년 나가신다》(류은, 책과함께어린이, 2018) 10쪽


10살 때 쌀가마니 짊어졌던 아이였지

→ 열 살 때 쌀섬 짊어졌던 아이였지

《행복화보》(오사다 카나/오경화 옮김, 미우, 2019) 10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