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은빛 숟가락 17 - 완결
오자와 마리 지음, 노미영 옮김 / 삼양출판사(만화) / 2020년 3월
평점 :
숲노래 푸른책/숲노래만화책
- 성교육 아닌 참사랑을 함께
《은빛 숟가락 17》
오자와 마리
노미영 옮김
삼양출판사
2020.3.23.
물 한 모금을 나누어도 하루가 즐겁습니다. 잔칫밥을 차려야 즐겁지 않습니다. 즐거우면서 넉넉히 웃고 노래하면서 이야기를 꽃피울 적에 참으로 즐겁습니다. 웃음도 노래도 이야기도 없이 맨숭맨숭 잔칫밥 곁에 있다고 해서 즐거울 까닭이 없습니다.
우리는 더 먹어야 하지 않아요. 많이 먹어야 하지도 않습니다. 잘 먹어야 하지도 않고, 끼니를 꼬박꼬박 채워야 하지도 않습니다. 먹든 안 먹든 즐거이 하루를 맞아들여야지요. 먹거나 안 먹거나 하루를 노래해야지요.
‘가다랑어포밥 만드는 방법을 물었다. 중1 남동생과 초6 여동생한테 가다랑어포밥을 먹이기 위해. 그게 내가 만든 최초의 밥이었다. 그무렵엔 아직 그런 것도 몰랐다. “뭔가, 괴로운 일이 있어도 맛있는 밥 먹으면 우선은 기운이 나잖아.” 그 애가 아무렇지 않게 건넨 말로 인해 나는 다시금 조금 더 구원받았다.’ (8∼9쪽)
언제부터인가 ‘복지’란 이름을 내세워 배움터에서 도시락이 사라집니다. 이러면서 일본스러운 한자말 ‘급식’을 내걸어요. 왜 배움터는 아이들 스스로 도시락을 싸도록 이끌지 않을까요? 왜 길잡이는 아이들이 손수 밥을 지어서 차린 다음, 같이 즐기고 나서 함께 설거지를 하고 자리를 치우는 길을 가르치지 않을까요?
오늘날 졸업장학교에는 ‘조리사’에 ‘청소부’까지 있습니다. 왜 아이들은 스스로 제 배움터를 건사하거나 가꾸는 데에서 손을 뗄까요? ‘전문직 조리사’가 굳이 있어야 할까요? ‘전문직 청소부’를 애써 두어야 할까요? 배움길에는 밥짓기나 걸레질이나 비질을 치워 놓아야 하는지요?
손에 물을 묻혀 밥을 짓거나 살림터 안팎을 정갈히 건사하는 길을 배우지 않고서, 오직 책이랑 교과서랑 시험으로 머리에 지식을 쌓는다면, 이 아이들 앞길은 어찌 될까요? 밥짓기도 걸레질도 비질도 모르는 채 몸뚱이만 무럭무럭 커서 ‘성교육’만 받는 젊은이가 참다이 사랑을 나눌는지는 알쏭달쏭합니다.
“넌 항상 그런 식으로 기다리기만 하고 우연을 기대하면서 스스로는 움직이려 하지 않더라.” (41쪽)
‘몇 년이나 우물쭈물했던 것이 거짓말인 듯이, 간단히 문이 열렸다.’ (70∼71쪽)
졸업장학교 안팎에서 벌이는 성교육은 끝내야지 싶습니다. 어른이자 어버이로서 어린이하고 푸름이한테는 성교육이 아닌 ‘참사랑’을 보여주고 가르치고 나눌 노릇이라고 봅니다. 《은빛 숟가락 17》(오자와 마리/노미영 옮김, 삼양출판사, 2020)을 읽었습니다. 《은빛 숟가락》은 열일곱걸음으로 모든 이야기를 마무릅니다. 대단한 밥차림이 아니어도 된다는 하루를 그린 수수한 만화입니다. 놀라운 밥짓기가 아니어도 즐겁다는 살림을 담아낸 투박한 만화입니다.
사랑이 피어나는 손길이기에 아이들이 사랑을 배우고, 이 사랑을 받아들여 푸르게 빛나며, 어느새 씩씩한 어른으로 피어난 젊은이가 새롭게 보금자리를 짓는 슬기로운 마음이 된다는 줄거리를 들려주는 만화예요.
그러니까 성교육 교재는 다 집어치우고, 이런, 참사랑을 속삭이는 만화책을 함께 읽기를 바랍니다. 성평등이나 남녀평등(여남평등)이나 페미니즘 같은 이름도 부질없어요. 참사랑을 노래하는 길을 어깨동무하는 살림으로 나아가는 이야기를 함께하면 됩니다. 자꾸 뭔 이름(프레임)을 내걸지 말 노릇입니다. 무엇보다도 우리 삶자리에서 먼먼 옛날부터 흐르던 즐거운 사랑을 눈여겨볼 일이에요.
“꿈에서는 보기 좋게 차였는데?” “그 정도까지 리허설을 했으면 현실에서 차여도 충격을 적게 받고 끝날 수 있어.” “꿈에서도 괴로웠어.” “너도 왕자님을 그런 기분이 들게 했어. 그런 식으로 언제까지나 후회하면서 질질 끌 거라면 확 결말을 짓는 게 나아.” (58쪽)
소꿉놀이가 왜 재미있을까요? 왜 아이들은 신나게 놀까요? 장난감이나 놀이터가 있어야 놀까요? 아이들을 놀이터에 길들이면서 아무 사랑도 안 하고 안 보여주고 안 나누는 오늘날 어른이나 어버이는 아닌가요?
아이들은 돈을 치르고 들어가서 이것을 타고 저것을 타야 하지 않습니다. 그런 돈수렁에 아이들을 자빠뜨리지 마셔요. 그런 돈밭에 아이들을 물들이지 마셔요.
오늘날 이 나라를 둘러봐요.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쉴 곳이 조금도 없습니다. 시골이건 서울이건 거님길에 걸상조차 없고, 푹 주저앉거나 드러누울 풀밭마저 없습니다.
빈터는 자동차가 차지해요. 아니, 자동차는 거님길까지 잡아먹어요. 잘 생각해야지요. 자동차는 어린이나 푸름이가 안 몹니다. 모두 어른이 몹니다. 이 나라 어른은 어린이하고 푸름이는 아랑곳하지 않으면서 막나갑니다. 아이들한테 빈터도 쉼터도 내주지 않고, 모조리 ‘돈으로 흐르는 가게’를 그득그득 채웁니다. 아이들은 하릴없이 떠돌거나 헤매면서 ‘돈, 돈, 돈’ 생각에 사로잡히고 맙니다.
‘어제 저녁부터 아무것도 안 먹었네. 이렇게 죽고 싶은 기분인데 어째서 배가 고픈 걸까, 나는?’ (88쪽)
‘울면서 먹은 오믈렛 볶음국수는, 그런데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척 맛있었다.’ (98쪽)
틈이 없는 서울은 사람이 살 수 없는 죽음터입니다. 돈을 쓰지 않고는 쉬지도 눕지도 앉지도 못하는 서울은 사람한테서 사람다움을 빼앗는 불구덩이입니다. 끝없이 자동차가 달리면서 귀를 찢는 서울은 사람이 사람길에서 튕겨나오도록 몰아내는 사슬터입니다.
이런 서울에 잿빛집(아파트)을 세워서 비싸게 사고파는 나라라면, 이 나라에는 빛이 없습니다. 잿빛집을 더 세워서 사람들을 가두는 길이 주택정책이라고 외치는 벼슬아치라면, 그런 벼슬아치를 거느린 우두머리한테서는 아무 사랑이 없습니다. 돈을 들이지 않고서 나라를 아름다이 가꾸어야 참다이 꼭두머리입니다. 돈을 쓰지 않고서 마을을 돌보아야 참답게 벼슬꾼입니다.
“그보다 넌 스스로를 걱정하렴.” “시라베도 아직 훗카이도에 있잖아요.” “언제까지고 부모님 집에서 사는 남자는 여자한테 인기 없어!” “그러면 엄마는 혼자 살게 되는데요?” “마마보이라고 생각할 거야!” “이 넓은 집에.” “실은 그거 무척 기대돼! 오히려 후련할 거야. 혼자 하고 싶은 일이 잔뜩 있거든!” (146쪽)
어린이하고 푸름이는 돈벌이를 배워야 하지 않습니다. 어린이도 푸름이도 삶짓기를 배울 노릇입니다. 살림짓기를 배우고, 사랑짓기를 배워야지요. 마음짓기를 배우고, 생각짓기를 배울 길입니다. 꿈짓기를 배우고, 숲짓기를 배울 하루입니다.
오직 하나 ‘돈굴리기’를 보여주고 가르치고 내모는 어른이라면, 그이는 어른이 아닌 ‘늙은이’입니다. 삶도 살림도 사랑도 못 보여주면서 나이만 먹은 그대라면, 참으로 늙은이일 뿐입니다.
‘지난번과는 다르게 유코 언니는 오빠를 축복했다. 왜냐면 만나고 싶으면 이번엔 언제든지 만나러 갈 수 있으니까. 낯선 땅에서 새로운 한 걸음을 내딛는 오빠를 가장 이해하고 응원해 주는 사람은, 시작은 했지만 도착점이 보이지 않는 꿈을 향해 지금도 노력을 계속하는 유코 언니일지도 모른다.’ (150쪽)
성교육을 받은 아이들은 ‘성행위’를 할 뿐입니다. 사랑을 배운 아이들은 ‘사랑’을 합니다. 아이들이 어떤 어른으로 크기를 바라는가 하고 생각할 오늘입니다. 아이들이 어떤 마음으로 하루를 짓는 어른으로 이 별에서 삶을 누릴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할 우리입니다.
삶을 짓는 사람은 아름돈을 벌고 꽃돈을 모아서, 아름길에서 넉넉히 나누는 손길이 됩니다. 살림을 짓는 사람은 웃음돈을 벌고 빛돈을 꾸려서, 아름마을에서 즐거이 나누는 눈빛이 됩니다. 서로서로 참어른이 될 수 있도록, 우리 보금자리에 멧새가 찾아들고 개구리랑 뱀이 같이 살면서 풀꽃나무가 흐드러지는 숲을 품는 손짓이 되기를 빕니다. ㅅㄴㄹ
#숲노래푸른책 #책읽기 #책이야기 #푸른책 #청소년책 #숲노래책읽기 #숲노래 #최종규 #만화읽기 #청소년만화 #은빛숟가락 #숲노래추천책 #숲노래아름책 #銀のスプーン #小沢真理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사전을 쓰고 “사전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책숲마실 파는곳]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683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