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0.9.27.


《다시 오지 않는 것들》

 최영미 글, 이미, 2019.6.26.



서울에서 아침을 맞는다. 경북 상주에 있는 ‘푸른누리’로 간다. 잿빛집으로 가득한 서울은 나무나 풀이 살 틈이 매우 좁거나 없다. 잿빛이 너울거리기에 풀빛은 숨을 죽이고, 이 고장을 벗어날 즈음부터 빛깔이 잿빛에서 풀빛으로, 또 하늘빛으로 바뀐다. 아침에 눈을 뜨고 저녁에 눈을 감는 곳에서 늘 잿빛을 마주한다면, 사람들 마음에 어떤 숨빛이 흐를까? 퍽 오래 푸른길을 걸어온 어른들이 모여 ‘우리말 새뜸’을 놓고 이야기한다. ‘새뜸’은 ‘신문’을 가리키는 새말이라지. 누가 지었는지 몰라도 매우 어울린다. ‘신문’뿐 아니라 “새로 뜬다”를 나타낼 터이니 ‘개안·개벽·달관’ 같은 말씨도 풀어낼 만하다. 저녁에 청주로 건너가서 길손집에 드는데, 3만 원을 받는다. 어제 서울 길손집은 39000원을 받으면서 아주 싸게 준다고 티를 냈는데, 청주는 아무 티도 없이 훨씬 넓고 시원하며 깨끗하다. 《다시 오지 않는 것들》을 읽었다. ‘En시인’하고 얽힌 노래는 매서우면서 포근하게 어루만지는 글월이라면, 다른 노래는 좀 싱겁다. 들쑤시고 쳐들어오는 ‘그들’을 놓고는 글이 빛나는데, 여느 삶을 노래할 적에는 어쩐지 글힘이 없다. 싸울 적에 빛이 나도 나쁘지 않지만, 살림할 적에 노랫마디가 모두 너른 사랑이라면 좋겠는데.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