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숲에서 짓는 글살림

47. 셈꽃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서 펴낸 교과서를 보면 ‘算數’처럼 한자로 적습니다. 우리는 이 이름을 꽤 오래 썼고, 요새는 ‘수학(數學)’으로 쓰지요. 일제강점기가 끝난 뒤에 지긋지긋한 일본말 굴레에서 벗어난 만큼, 교과서를 새로 엮을 적에 끔찍한 일본 한자말을 걷어내자는 물결이 일었습니다. 이즈음 ‘셈본’이란 이름으로 교과서가 나왔어요. 이러다가 남북이 갈려서 싸움수렁이 불거졌고, 남녘에 군사독재가 서슬이 퍼렇게 으르렁대면서 ‘셈본’이란 이름은 짓눌려 사라져야 했고, ‘수학·산수’ 두 가지 이름만 나돌았습니다.


  ‘셈’이란 무엇일까요? ‘세다’는 어떤 결을 나타낼까요? 적잖은 분은 ‘셈’은 얕거나 낮은 낱말이요, ‘수학’이나 ‘계산’ 같은 일본 한자말을 써야 제대로 배우거나 가르칠 만하다고 여깁니다. 참말로 그럴까요? 우리는 ‘셈’이라는 낱말을 아직 모르거나 찬찬히 생각한 적이 없지는 않을까요?


셈(셈하다·셈나다) ← 계산, 산(算), 산수(算數), 산술, 심산, 짐작, 가정(假定), 발상, 심리, 측량, 계량, 결과, 정산, 추산, 연산(演算), 추정, 작정, 예산, 예상, 예견, 예측, 예기, 요량, 판정, 판단, 판별, 분별, 타산, 이해타산, 채산, 통계(統計), 격(格), 경우, 숫자, 수치(數値), 형편, 생활 형편, 수(數), 조(條), 시추에이션, -책(策), 법(法), 방법, 내막, 수법, 존재, 필요, 견적, 형국, 국면, 형세, 전술, 전략, 작전, 책략, 방책, 방도, ……


  ‘셈’이란 낱말을 쓰는 자리를 곰곰이 생각하니 끝이 없이 나옵니다. ‘셈’은 어떻게 이런 여러 자리에 쓸 수 있는 낱말일까요?

 

 셈 = 세다 = 헤다 = 헤아리다 = 생각

 

  ‘세다’에 ‘-ㅁ’을 붙여 이름씨 꼴로 바꾸기에 ‘셈’입니다. ‘세다’는 ‘꼽다’하고 맞물리는 뜻이 바탕인데, 무엇을 꼽는다고 할 적에는 ‘알아보다’를 나타내요. 알아본다고 할 적에는 “알려고 본다”는 뜻입니다. “알려고 보다”에서 ‘보다’는 ‘생각’을 뜻하기도 해요. ‘세다 = 생각’으로 잇닿는 얼개인데, 이 사이에 ‘헤다·헤아리다’가 있지요.


  “헤아릴 길이 없도록 가득한 별”처럼, “네 마음을 헤아리지 못했어”처럼, “조금씩 헤아리면 누구나 알 만하지”처럼 쓰는 ‘헤아리다’이고, ‘세다’는 이러한 말결로 오래도록 우리 뜻이며 속내를 드러내는 자리에 쓰던 낱말입니다.

 

셈값 ← 수치(數値)

셈길 ← 계산법, 공식(公式), 연산(演算), 수학, 산수(算數)

 

  산수이든 수학이든, 이 배움길은 숫자로만 따지지 않습니다. ‘따지’되 ‘생각’이라는 마음쓰기가 바탕이지요. 그러니 ‘셈본’이란 이름으로 교과서 이름을 붙일 만했고, ‘컴퓨터’라는 살림을 ‘셈틀’로 풀어내자는 목소리가 나올 만했습니다. 하나하나 꼽는 결이자, 깊고 넓게 헤아리는 결을 품은 낱말이 ‘셈’이거든요.

 

셈대 ← 계산대

셈돈 ← 예산

셈말 ← 숫자

셈속 ← 계산속, 계산, 타산, 이해타산, 수법

셈씨 ← 수사(數詞)


  모든 말은 널리 쓰기에 결이 깊어갑니다. 어느 말이건 안 쓴다면 결이 얕아지다가 스러집니다. ‘세는 길’을 더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세는 마음’을 더 들여다보면 어떨까요? 말밑을 차근차근 짚으면서 새롭게 쓸 만한 길을 알아보면 어떨까요? 즐겁게 쓰면서 어린이하고 어깨동무할 말씨를 찾아보면 어떨까요?

 

셈틀 ← 컴퓨터, 피시

셈틀말 ← 컴퓨터 용어

셈틀집 ← 컴퓨터 대리점, 컴퓨터 판매점, 피시방

셈틀칸 ← 피시방(PC방)

 

  나이가 든 분은 좀처럼 말을 새롭게 익혀서 가다듬으려고는 안 한다고 느낍니다. 이와 달리 나이가 어린 아이들은 모든 말을 새롭게 받아들여서 즐겁게 쓴다고 느낍니다. 아이들한테 처음으로 어떤 낱말로 이것이며 저것을 가리키느냐에 따라 아이들이 맞아들이면서 생각하는 힘이나 너비나 바탕이나 숨결은 확 달라요.


  아이한테 “저기 보렴, 파란띠제비나비가 후박나무를 휘휘 돌면서 나는구나.” 하고 말할 적에는 아이한테 ‘파란-’이며 ‘-띠’를 붙여서 쓰는 말씨를 물려주는 셈입니다. 아이한테 ‘호접몽’을 말하면 아이는 얼마나 알아들을까요? ‘호·접·몽’이라는 중국 말씨를 얼마나 살려서 쓸 만할까요? 아이한테 ‘나비꿈’을 말할 적에는 다르겠지요. 말을 뒤집어 ‘꿈나비’라 해도 될 테고요.


셈판 ← 원인, 이유, 형편, 생활 형편, 처지, 견적

셈평 ← 이해타산, 타산, 형편, 생활 형편, 처지, 견적

 

  벌이랑 나비를 아울러 ‘벌나비’라 합니다. 말이랑 소를 아울러 ‘마소’라 합니다. 밤이랑 낮을 묶어 ‘밤낮’이라 하고, 아침이랑 저녁을 함께 살피며 ‘아침저녁’이라 하지요. 봄하고 여름을 이어 ‘봄여름’이라 하며, 가을하고 겨울을 맞물려서 ‘가을겨울(갈겨울)’이라 합니다.


  말은 삶에서 피어납니다. 삶을 꾸밈없이 바라보기에 말을 꾸밈없이 합니다. 삶을 고스란히 맞아들여서 차근차근 생각을 지피기에 어린이도 어른도 바로바로 알아듣고서 그때그때 생각을 더 펼치는 길로 나아갑니다.

 

셈꽃 ← 수학


  예전에는 ‘-갈’이란 말씨를 붙여 배움길을 나타냈습니다. 《한글갈》 같은 책이 있어요. ‘-갈’을 붙여도 좋은데, ‘-꽃’을 붙이면 어떨까요? 문학이란, 말로 일군 꽃다운 길이에요. 그래서 ‘말꽃’이란 이름으로 문학을 나타내어도 어울립니다. 셈을 짚거나 다루는 배움길이라면 ‘셈갈’이라 할 만하면서도, ‘셈꽃’처럼 한결 꽃다이 바라보아도 좋으리라 봅니다.


  얼마 앞서 《다시 수학이 필요한 순간》이란 책을 읽었습니다. “필요한 순간” 같은 말씨를 요새 나이든 분은 그냥그냥 쓰겠지요. 더구나 이런 말씨는 어린이책이나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도 어렵잖이 찾아봅니다.


  그러나 저는 숨을 가누면서 더 생각해 보기로 합니다. 이 말씨를 새롭게 추스르는 길을 헤아리고 싶습니다. 이를테면 “수학을 생각할 때”나 “수학을 할 때”라 말할 만하지 않을까요? 말결을 곰곰이 보듬으면서 “수학을 곁에 둘 때”나 “수학을 즐길 때”라 해도 될 테고요.


  꽃다움 셈길을 곁에 두고 싶습니다. 나비처럼 부드럽고 상냥하게 날갯짓하는 마음으로 하루를 즐기고 싶습니다. 어렵거나 딱딱한 말을 안 쓴다기보다, 어린이 곁에서 무릎맞춤을 하고 눈맞춤을 하며 마음맞춤을 하는 신바람나는 말씨를 쓰도록 생각을 펴고 싶습니다. 더 좋은 말이 아니라, 더 생각을 가꾸면서 더 슬기롭게 철드는 어른으로 나아가는 길에 동무할 만한 말을 자꾸자꾸 헤아리고 싶습니다.


  우리가 쓰는 모든 글이 꽃이 된다면, 꽃으로 피어난다면, 꽃내음처럼 맑다면, 꽃빛처럼 싱그럽다면, 우리 글쓰기는 글꽃으로 거듭나겠지요. 생각꽃이요, 마음꽃이며, 슬기꽃이고, 사랑꽃에, 살림꽃이자, 노래꽃인, 하루꽃이며, 길꽃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사전을 쓰고 “사전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https://book.naver.com/search/search.nhn?query=%EC%B5%9C%EC%A2%85%EA%B7%9C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