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이곳은 이곳이다

― 전남 순천 〈골목책방 서성이다〉

 전남 순천시 향교길 39

 061.751.1237.

 https://www.instagram.com/walking_with_book/



  〈골목책방 서성이다〉를 두걸음째 찾아가면서 생각합니다. 이곳은 이곳입니다. 이곳은 다른 곳이 아닙니다. 이곳은 ‘다른 곳을 이어서’ 하는 곳이라고 여길 수 있지만, 그보다는 ‘이곳에서 이 나름대로 새롭게 길을 가려는 곳’이라고 여겨야지 싶어요.


  그렇지만 두걸음째로 딛는 마을책집에서 문득문득 ‘예전에 이곳에서 책집을 하던 분들은 어디로 가서 무엇을 할까?’ 하는 생각이 가시지 않습니다. 문득문득 드는 이런 생각을 내려놓고서 책을 보기로 합니다. 오늘 이곳에 있는 ‘오늘책’을 바라보면서 마음에 담기로 합니다.


  저는 어느 책집에 가든 ‘내가 읽을 책’을 살펴서 고릅니다. 제가 고르는 책이 어린이책이든 그림책이든 ‘아이한테만 읽히려고 고르는 책’은 없습니다. 아이에 앞서 제가 먼저 찬찬히 읽을 책이고, 저부터 가만히 누리고 나서야 아이한테 건넬 수 있는 어린이책이요 그림책입니다.


  《지렁이가 세균 아저씨를 꿀꺽 삼키면》(에릭 바튀/박나리 옮김, 책속물고기, 2016)을 고릅니다. 에릭 바튀 님이 빚은 다른 그림책을 즐겁게 읽은 터라, 이런 그림책이 있었구나 하고 반기면서 고릅니다. 다만 아이들한테 이 그림책을 읽히자면 덧말을 요모조모 붙여서 들려주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세균’이란 ‘나쁜 것’이 아니거든요. 또 ‘좋고 나쁜’ 것이 없을 뿐 아니라, 우리 스스로 몸하고 마음을 가꾸는 길에서 ‘무엇’을 살펴서 몸으로 받아들이고 마음으로 지을 만한가를 같이 이야기해야겠다고 여깁니다.


  《타인을 안다는 착각》(요로 다케시·나코시 야스후미/지비원 옮김, 휴, 2018)을 집어듭니다. 책이름이 줄거리를 모조리 밝힙니다. 참말로 우리는 ‘내가 너를 안다는 엉뚱한 생각’이 되곤 합니다. 내가 너를 어떻게 알까요? 네가 나를 어떻게 아는가요?


  우리는 서로 모릅니다. 서로 모르니 쳐다봅니다. 서로 모르니 말을 섞습니다. 서로 모르니 글을 쓰고, 책을 읽습니다. 서로 모르니 만납니다. 서로 모르니 함께 살림을 짓는 보금자리를 꾸립니다.


  자, 생각해 봐요. 우리가 서로 안다면 구태여 말을 할 까닭이 없어요. 서로 아는데 뭐 하러 책을 쓰고 엮어서 읽을까요? 서로 안다면 한 집에 같이 살지 않아도 사랑이 어떻게 피어나서 흐르는가를 참말로 잘 알 테니, 걱정할 일이 없습니다. 딴짓을 할 까닭도 없습니다.


  우리는 언제나 서로 모르는 줄 알면서 살아야지 싶어요. 저는 이 마을책집을 모릅니다. 그래서 이 마을책집으로 찾아가서 한나절을 누리면서 아직 제가 모르는 책을 살펴서 아직 모르는 길을 헤아립니다. 저는 아직 모르는 것투성이라, 이제부터 하나씩 알아보자는 마음으로 바깥마실도 하고 집안일도 합니다. 아이들한테 무엇을 보여주거나 가르친다기보다, 어버이로서 모르는 것투성이인 삶을 어떻게 다스릴 적에 사랑이 되려나 하고 생각합니다.


  《까만 아이》(세바스티엥 조아니에·다니엘라 티에니/김주열 옮김, 산하, 2014)를 고릅니다. 이 책은 고흥으로 돌아가는 시외버스에서 이내 다 읽습니다. 겉보기로는 까만 아이인데, 속으로 보면 어떤 빛일까요? 겉보기로 하얀 아이라면, 파란 아이나 푸른 아이라면, 이 아이들은 속눈으로 어떤 빛을 느낄 만할까요?


  책손한테 책집은 낯선 곳입니다. 책집지기로서 책손도 낯선 사람입니다. 책손은 어떤 책을 오늘 만날는지 까맣게 모르는 채 책집마실을 합니다. 책집지기는 어떤 책손이 어떤 책을 만나려고 이곳까지 그렇게 품하고 돈하고 하루를 들여서 찾아오는지 알지 못하지만, 그 알지 못하는 책손하고 이어진 끈을 알아보고 싶어서 책집 한켠을 쓸고닦으면서 조용히 기다립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