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말 손질 1979 : 역으로 반증
역으로 … 반증이다
→ 거꾸로 … 보여준다
→ 외려 … -는 얘기이다
→ 도리어 … -는 뜻이다
역(逆) : 반대 또는 거꾸로임
거꾸로 : 차례나 방향, 또는 형편 따위가 반대로 되게
반증(反證) : 1. 어떤 사실이나 주장이 옳지 아니함을 그에 반대되는 근거를 들어 증명함. 또는 그런 증거 2. 어떤 사실과 모순되는 것 같지만, 거꾸로 그 사실을 증명하는 것
‘역으로 = 거꾸로’요, ‘반증’은 ‘거꾸로’ 보이는 일을 나타냅니다. 글머리를 ‘역으로’로 하고, 마무리를 ‘반증이다’라 하면 겹말입니다. 두 한자말을 ‘거꾸로’ 하나로 손보거나 ‘외려·오히려’나 ‘되레·도리어’로 손봅니다. ㅅㄴㄹ
역으로 여성들이 해방된 지가 실로 얼마 되지 않았다는 사실의 반증이다
→ 거꾸로 여성이 풀려난 지가 참말 얼마 되지 않은 줄 보여준다
→ 외려 여성이 풀려난 지가 참으로 얼마 안 된다는 얘기이다
→ 도리어 여성이 풀려난 지가 참말 얼마 안 된다는 뜻이다
《나는 이제 참지 않고 살기로 했다》(니콜 슈타우딩거/장혜경 옮김, 갈매나무, 2016) 22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