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한 타카코 씨 3
신큐 치에 지음, 조아라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8년 12월
평점 :
책으로 삶읽기 423
《행복한 타카코 씨 3》
신큐 치에
조아라 옮김
AK커뮤니케이션즈
2018.12.15.
‘머릿속에서 울리던 소리가 없어졌어. 몸이 회복될 때 느껴지는 편안함. 몸이 ‘잠잠해져라’라고 말하고 있어.’ (31쪽)
‘눈이 모든 것을 빨아들여 조용하다. 내 무게만이 울리는 주택가. 나 홀로 세상에 남겨진 듯한 이런 시간은 도리어 느끼게 해준다. 집집마다 다른 삶이 있음을.’ *124∼125쪽)
《행복한 타카코 씨 3》(신큐 치에/조아라 옮김, AK커뮤니케이션즈, 2018)을 읽으면서 새삼스레 ‘소리’하고 ‘노래’하고 ‘말’을 헤아린다. 세 낱말은 생김새나 뜻이 다르지만, 언제나 하나가 될 수 있다. 그저 흐르는 소리가 새롭게 노래로 거듭나다가 우리가 나눌 말이 된다. 아무 뜻이 없이 흐르는 말은 그저 자질구레한 소리가 되기도 하지만, 사랑을 담은 말은 아름다운 노래가 되기도 한다. 아플 적에 찌링찌링 머리에서 울리는 소리는, 이제 다른 곳은 쳐다보지 말고 오로지 마음하고 몸만 바라보면서 새롭게 깨어나라는 뜻이 아닐까 싶다. 참말로 몸이 말끔히 나으면 찌링찌링 소리는 가뭇없이 사라진다. 겨울에는 눈이 여름에는 비가 온누리 소리를 잠재우면서 새로운 노래를 퍼뜨린다. 이러한 소리란 노래란 말이란 우리를 둘러싸면서 상냥하게 서로를 잇는 숨결이리라.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