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어머니 이야기 세트 - 전4권
김은성 지음 / 애니북스 / 201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다섯 해 앞서 쓴 글을 손질했습니다. 다시 읽어 보아도 이 만화책은 아름답습니다.


.. 


만화책 즐겨읽기



우리 어머니는 어디에서 살았을까

― 내 어머니 이야기 2

 김은성



“어디미 큰 집 한 채 부순 나무를 가지와서 집을 지었어. 그런 나무라야 나중이 뒤틀리지 않는다고. 물론 새 나무도 섞어서 쓸 데는 쓰고.” (12쪽)


“학교 끝나기만 하면 집으로 달아오고. 어떤 때는 동네 사램들이 부러 귀경을 와. 나중이 집 옆이 심은 꽃낭구랑 자라이까 집이 더 멋있어. 봉이나무에 봉이가 열면 따 먹고.” (20쪽)


“잔치가 무시기 좋은 일로 하는 기 아이라. 군인 끌려 나가면 살아 돌아올지 모르이까 하는 거야. 군인 끌려 나가는 집이서 잔치를 하는 거야 … 잔치는 웃다가 울다가, 울다가 웃다가 해.” (36∼37쪽)


“이 사램 말하는 거를 봅세. 우리가 자식 혼인시기는 거, 자식이 맘이 있는 디 보내야지 떡을 보고 혼인을 시기겠슴메. 싹 가지고 가기오.” (66쪽)


“그 병신 같은 사람들이 게으름 피우고 놀고먹던 사람들이야?” “우리 고향이서는 놀고먹는 사램이 없었어. 아침부터 저녁까지 뼈 빠지게 일하지.” “엄마! 뼈가 빠지게 일해도 자기 땅이 없으니까 못 살고 못 배우고 그런 거지. 그런 사람에게 땅을 줘야 맞는 거 아냐.” “그거야 그렇겠지. 땅이 자기 땅이면 먹고는 살 수 있지. 그래도 그렇지. 땅을 뺏더라도 절반이나 뺏던가 해야지 몽땅 뺏는 건 말도 안 되지.” (112∼113쪽)


“이북이 있는 식구들도 다른 나라에서 다 만난다는데 우리 숙자는 왜, 왜, 이남이 있는 언니가 자기를 찾지도 않나 그럴 같애. 지금 형편은 이런 줄도 모르고 ‘언니가 잘사는데 나를 찾지도 않는구나’ 그럴지 몰라. 만나면 좀 도와줘야 하는데, 우리 살기도 힘들고, 그래도 만나 보깁어.” (119쪽)


“바다가 밤인데도 어둡지 않아. 달빛이 비추더라고. 맘이 탁 트이는 것도 같고 아인 것도 같고. 이 생각 저 생각 드더라고.” (154쪽)


“그렇기 오래 안 가다가 친정집이 가는데, 우리 아버지가 안막 앞이 우리 논이서 추새(일)를 하다가 우리를 보더이 손을 논물이 씻고 나오더라구.” (159쪽)


“시숙이 밥을 차려 주니 자시고 이 얘기 저 얘기 하면서 웃고. 식구 떼 놓고 왔는데도 집이 와서 그런가 좋아하더라구.” (183쪽)


“젊었을 때 그 혈기 있던 시절 마늘대가리가 불기불기하고 툭툭 터지고 석 접이나 되는 꿈을 꿨는데 깨나니까 기분이 왜 또 이러니야. 내 고향집이 한 번 가 보깁다. 그 집에 우리 형부가 살고 있었다는데.” “60년이 지났는데 아직도 눈물이 마르지 않았어?” “60년이 지나니까 더 나. 만약 고향이 간다면 모를 파헤쳐 뼈를 만지 보면 좋겠어. 우리 나고(낳고) 키운 어머이.” (197쪽)



  여름에 읍내마실을 다녀오면 더위에 몹시 애먹습니다. 겨울에 읍내마실을 다녀오면 추위에 애먹고요. 여름이라 덥거나 겨울이라 춥지 않습니다. 시골이라는 터에 살아도 나무나 풀이 우거진 자리에서는 여름이 그리 안 덥고 겨울이 그다지 안 춥습니다. 이름은 시골이어도 읍내나 면소재지는 도시를 닮아서 여름에 덥고 겨울에 춥습니다. 다시 말해서 도시라 하더라도 나무가 우거지고 풀밭이 있는 데라면 여름에 썩 덥지 않고 겨울에 꽤 포근합니다.


  집 안팎이 두루 시원하려면 풀과 나무가 있어야 합니다. 나무만 있어서는 시원하지 않을 뿐더러, 나무만 있으면 나무부터 몹시 힘듭니다. 나무는 뿌리를 마음껏 뻗을 만큼 너른 흙을 누려야 하고, 나무뿌리가 바깥에 불거지지 않도록 온갖 풀이 알맞게 자라서 흙을 덮을 노릇입니다. 풀이 없는 흙은 빗물에 쉽게 쓸릴 뿐 아니라, 사람이 밟고 지나가면 흙이 깎입니다. 풀이 있는 흙은 빗물에 좀처럼 쓸리지 않을 뿐 아니라, 사람이 밟고 지나가도 풀만 누웠다가 일어납니다. 풀이 밟혀 못 일어나도 풀은 흙을 단단히 움켜쥐기에 나무뿌리가 흙땅에 튼튼히 뿌리내리도록 돕습니다.


  풀과 나무가 있어 흙을 알뜰히 돌보고, 풀과 나무가 햇볕을 듬뿍 받아들이면서 물방울 머금은 바람을 내뿜을 적에 비로소 시원합니다. 이러다 보니 시골 읍내라 하더라도 오늘날은 도시와 똑같이 죄다 아스팔트에다가 시멘트이고, 나무까지 없으니 무척 후덥지근합니다.


  나무가 없으면 더위에 지치고, 풀이 없으면 더위에 치입니다. 나무와 풀이 있으면 그늘이 지고 빈 자리가 없어 남새를 얻기 어렵다고 말할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남새도 곁에 풀이 잘 자라면 한결 싱그럽고 맛있습니다. 들에서 돋는 풀이란 모두 나물입니다. 굳이 풀을 죽이거나 뽑아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더구나 먹는 풀이 아니면, 옷을 짓거나 새끼를 꼴 적에 쓰는 풀이기 마련입니다. 한겨레뿐 아니라 다른 겨레도, 풀에서 실을 얻어 옷을 지었어요. 어느 겨레이든 풀옷을 입고 풀집을 지었습니다. 흙밥을 먹고 흙집에서 살았습니다.


  풀옷을 입고 풀집을 지으며 풀밥(또는 흙밥)을 먹으면 더위나 추위를 모릅니다. 풀을 만지고 흙을 만지며 나무를 쓰다듬으면 더위도 추위도 모릅니다. 풀과 나무가 아름답게 자라지 못하는 곳이 덥거나 춥습니다. 풀과 나무가 사랑스레 뿌리내리지 못하는 자리가 고단하면서 메마릅니다.


  살며시 생각하면 누구나 알 수 있어요. 사막이나 북극이나 남극은 어떠한가요. 풀도 나무도 자라지 못해요. 왜 더울까요. 왜 추울까요. 풀과 나무가 없으니 덥거나 추워요. 왜 고단할까요. 풀이 없거든요. 왜 힘들까요. 나무가 없거든요. 시골이든 도시이든 숲을 가꾸고 들을 보살펴야 즐겁게 살 만한데, 새마을운동이 아니었어도 우리 사회가 숲이랑 들을 함부로 망가뜨리기에 어느 곳에 가더라도 덥거나 춥구나 하고 느낍니다.


  김은성 님이 빚은 《내 어머니 이야기》를 펴면, 김은성 님을 낳은 어머니 이야기를 조곤조곤 읽을 수 있습니다. 김은성 님 어머니는 북녘에서 나고 자랐다고 합니다. 예전에는 북녘에서 살았으나 한국전쟁 언저리에 남녘으로 와서 서울에서 딸아이(만화가)하고 살아간다고 해요. 만화를 빚은 분은 어머니 지청구를 듣다가 어머니 옛이야기를 듣다가, 같이 살림을 하다가, 같이 김치를 담그고 담을 먹고 자다가, 또 옛이야기를 듣다가, 만화를 그리다가, 서로서로 이야기 한 꾸러미를 짓는다고 해요.


  나이든 어머니는 딸아이한테 이녁 어릴 적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괴롭거나 아프거나 슬픈’ 일 못지않게 ‘즐겁거나 웃거나 사랑스러운’ 일을 곰곰이 떠올립니다. 웃고 울며 살아온 이야기입니다. 노래하다가 가슴을 찢으며 살아온 이야기입니다.


  만화책에 흐르는, 늙은 어머니가 들려주는 옛날이야기를 읽는데, 예전 사람들이 더위나 추위를 그닥 많이 안 탔구나 하고 느낍니다. 요즘 눈으로 얼핏 헤아리자면, 옛날 함경도는 얼마나 추웠을까요? 그러나 장작 패서 나무를 때고, 풀에서 실을 얻어 옷을 지어 입어도 모두들 튼튼하고 씩씩하게 살아갑니다. 게다가 옛집은 오늘날하고 다르게 종이 한 겹을 바른 문일 뿐이에요. 두 겹짜리 두꺼운 유리 창문이 아닌 고작 얇은 종이 한 겹 문입니다.


  오리털옷도 거위털옷도 닭털옷도 없던 그무렵에 어떻게 살았을까요? 어떻게 추위를 견디었을까요?


  아무래도 흙이 있고 풀과 나무가 있기 때문이었으리라 느껴요. 나무가 우거진 곳에 바람이 모질게 불지 않습니다. 나무와 풀이 푸르게 덮인 곳은 갑자기 뜨거워지지 않을 뿐 아니라 따순 기운이 쉬 식지 않습니다. 이런 곳은 둘레 삶터가 지내기에 알맞을 뿐 아니라, 집을 나무와 흙으로 지으니 집 안팎이 무척 좋습니다. 온도계로 따져서 ‘대단한 추위’라고 말할 일이 없습니다. 온도계는 생각할 일이 없어요. 겨울은 겨울답게 옷을 한 꺼풀 껴입습니다. 여름은 여름답게 물을 만지고 바람을 쐬면서 지냅니다.


  만화를 그린 분 어머니가 살아온 이야기를 읽다가, 문득 우리 어머니 이야기를 떠올려 봅니다. 곁님 어머니 이야기를 헤아려 봅니다. 이 나라 모든 어머니 이야기를 되새겨 봅니다. 우리들 어머니라면, 웬만한 분은 시골에서 태어나 흙을 만지며 자라셨을 테고, 도시에서 태어나 자랐더라도 시골 비슷한 터전에서 지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어머니를 낳은 어머니라면 거의 모두 흙과 풀과 나무하고 벗삼으면서 어린 나날과 젊은 나날을 누리셨겠지요.


  우리 어머니는 모두 시골빛을 먹으며 활짝 웃던 숨결입니다. 우리 어머니는 저마다 시골내음을 마시며 맑게 노래하던 넋입니다. 우리 어머니는 다 함께 시골꿈을 꾸면서 즐겁게 어깨동무하던 사이입니다.


  할머니가 된 어머니가 왜 샹냥하거나 고울는지 곱씹어 봅니다. 할머니가 된 어머니가 이녁 어릴 적에 어떤 삶터를 누리면서 마음마다 고운 빛을 품을 수 있었는지 그려 봅니다.


  모든 사람은 즐겁게 살아가면서 씩씩하게 자라 할머니(또는 할아버지)가 됩니다. 이 땅 아이들은 앞으로 즐겁고 씩씩하게 크면서 할머니(또는 할아버지)로 삶길을 걷습니다. 다들 고운 이야기 한 자락을 가꾸면 좋겠어요. 모두들 고운 노래 한 가락을 부르면 좋겠어요.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만화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