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지모 智謀


 지모가 뛰어나다 → 슬기꾀가 뛰어나다 / 꾀가 뛰어나다 / 꾀가 슬기롭다

 지모와 담력이 있는 젊은이 → 꾀와 배짱이 있는 젊은이


  ‘지모(智謀)’는 “슬기로운 꾀 ≒ 지술(智術)”이라고 하는데, 슬기로운 꾀라면 ‘슬기꾀’라 할 적에 알아보기 쉽겠지요. ‘지모’로 적든 ‘지모(智謀)’로 적든 알아보기 어렵습니다. 흐름을 살펴 “꾀가 슬기롭다”나 “꾀가 뛰어나다”라 해도 어울려요.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한자말 ‘지모’를 네 가지 더 싣는데, 풀이름 한 가지를 뺀 다른 세 한자말은 털어낼 노릇입니다. ㅅㄴㄹ



지모(地毛) : 토지의 초목(草木)

지모(地貌) : [지리] 땅 표면의 생김새. 고저, 기복, 비탈 따위의 상태를 이른다

지모(知母) : [식물]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지모(遲暮/遲莫) : 점차 나이를 먹어 늙어 감. 또는 그렇게 된 때



하지만 스웨덴인들은 지모(智謀)가 풍부하며

→ 그렇지만 스웨덴사람은 꾀가 많으며

→ 그러나 스웨덴사람은 슬기롭고 꾀바르며

《노르웨이의 나무》(라르스 뮈팅/노승영 옮김, 열린책들, 2017) 28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